황두진 건축가
이 표현은 경영학이나 군사학에서도 중요한 개념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육군의 저명한 지휘관이었던 조지 패턴 장군은 “젖은 국수는 당겨야지 밀면 안 된다”는 비유를 사용한 적이 있다. 정작 패턴 자신은 강압적으로 밀어붙이는 스타일로 유명한 인물이었지만, 그런 그마저도 리더십의 본질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다는 증거다.
과장하자면 온 세상이 ‘젖은 국수’다. 계획의 구상에서 실천에 이르는 수많은 단계에서 사람이나 조직은 쉽게 움직여 주지 않는다. 누를 때마다 오작동이 나는 리모컨을 다루는 것 같은 무력감을 누구나 느껴 봤을 것이다. 문제는 그다음부터다. 어떤 사람들은 젖은 국수를 말려서 어떻게든 다시 딱딱하게 만들려고 한다. 자신의 의지나 생각이 즉시 전달되고 실천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규칙을 만들고 처벌을 명시하고, 강경하고 과격한 언어도 구사한다. 그러다가 심지어 협박하거나 물리적으로 폭력을 가하기도 한다. 대부분 효과보다는 후폭풍이 훨씬 더 크고 전혀 지속 가능성이 없다.
그럼 어떤 방법이 있을까. 일단 국수가 젖어서 물렁물렁하다는 현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패턴의 비유를 인용하자면 밀지 말고 당겨야 한다. 즉 ‘젖은 국수’의 유연하고 찰진 성질을 역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현실 세계의 경험으로 보면 명령이나 지시보다는 설명이, 강요보다는 자발적 동기 부여가, 규칙보다는 대화가 훨씬 더 효과적이다. 조직이 크건 작건, 어떤 분야에서건 마찬가지다. 그 작은 차이가 때로 움직일 수 없는 결과를 낳는다.
건축가의 삶도 마찬가지다. 머릿속에 있는 구상이 바로 건물이 될 리가 없다. 그래서 스케치를 하고, 모형을 만들고, 컴퓨터로 가상공간을 구현하고, 도면과 시방서를 작성한다. 회사 안팎의 수많은 사람들과 대화와 협의를 주고받은 결과물이다.
그런데 최종적으로 건물을 완성하는 사람들, 즉 콘크리트를 붓고, 벽돌을 쌓고, 페인트를 바르고, 문 손잡이를 다는 사람들은 이 과정에서 빠져 있다. 심지어 대부분 이름도 얼굴도 모른다. 이런 생각을 하다 보면 정신이 아득해진다.
그래서 앞으로는 도면에 설명을 많이 쓰기로 했다. 비유하자면 누군가에게 말을 거는 것이다. 이 부분을 왜 이렇게 했는지, 주의하거나 유념할 부분은 무엇인지, 현장에서 재량을 발휘해도 좋은 내용이 있다면 어떤 것인지 적는 것이다. 즉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이전에 미국에서 일할 때 유난히 도면에 그림뿐 아니라 글이 많은 것을 보고 의아해한 적이 있다. 지금은 그 이유, 그리고 그런 방식을 낳은 문화를 이해한다. 건조하고 딱딱한 것보다 촉촉하고 유연한 것이 오히려 더 좋다. 젖어야 국수 아닌가.
2022-01-2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