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욱의 혁신경제] 미국의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대이동/TBT 공동대표

[임정욱의 혁신경제] 미국의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대이동/TBT 공동대표

입력 2022-01-02 17:40
수정 2022-01-03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미국 식당 디지털화 5년 앞당겨
400만 자발적 이직, 일자리 찾아
유연한 취업은 스타트업 키운 힘

임정욱 TBT 공동대표
임정욱 TBT 공동대표
1월 초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정보기술(IT)·전자제품 융합전시회인 ‘CES 2022’ 참관을 위해 일찍 미국을 방문했다. 사실 갈까 말까 고민이 많았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미국의 하루 코로나19 확진자가 수십만 명을 넘는 상황이다. 하지만 팬데믹으로 해외에 못 가본 지 거의 2년이다. 세계 첨단의 기술 트렌드를 선보이는 CES는 물론이고 팬데믹 이후 미국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오미크론을 뚫고 출장을 강행했다.

개최지인 라스베이거스에 가기 전 캘리포니아 베이 지역의 실리콘밸리에서 많은 지인들을 만났다. 여러 가지 변화를 체감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다. 예전에 자주 가던 식당 중 문 닫은 곳들이 많다. 팬데믹을 견디지 못하고 두 손을 든 자영업자들이 많은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살아남은 식당들은 한창 디지털 전환 중이었다. 코로나 전염이 염려되는지 종이로 된 메뉴를 주지 않는 식당들이 많다. 대신 QR코드를 들이대며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라고 한다. 스캔하면 디지털 메뉴가 떠오른다. 아예 스마트폰에서 주문하고 식사비 결제까지 할 수 있다.

식당 직원들 손에는 ‘토스트’라는 주문 단말기가 쥐어져 있다. 고객 주문과 결제를 디지털로 처리하고 특히 음식 배달 주문까지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기기다. 이 제품을 만드는 스타트업은 팬데믹이 터지자 직원 절반을 감원하는 등 큰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고객인 식당들이 더 빠르게 디지털 전환을 하면서 기사회생했다. 코로나가 미국 식당의 디지털 전환을 5년 이상 당겼다는 인상을 받았다.

어떤 식당에는 음식값에 3%의 추가 수수료가 있다고 써 있다. 이게 뭐냐고 했더니 ‘코로나 수수료’라고 한다. 코로나로 식재료, 인건비 등이 상승하자 이것을 이유로 음식값의 3~5%를 수수료로 더 받는 식당이 많다고 한다. 한 지인은 “이것저것 합치면 대략 음식값이 팬데믹 전보다 20% 오른 것 같다”고 말할 정도다. 자동차 주유비도 그렇고 인플레이션 현상이 극심하다.

길 가다 보이는 식당, 유통 점포에는 크게 ‘채용중’(We’re hiring)이라고 써 있는 곳이 많았다. 다들 웃돈을 주고도 직원을 채용하려고 하는데 구할 수가 없어서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언론은 대규모 사직(大辭職·Great Resignation)의 시대라고 표현한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매월 400만명 이상이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두고 있다. 코로나에 대한 우려, 육아 문제 때문이거나 자영업 창업, 프리랜서나 플랫폼 노동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은퇴를 앞당기거나 일을 안 하고 실업수당과 코로나 지원금으로 살아가는 사람도 많다. 일자리의 대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실리콘밸리의 테크기업에 다니는 지인들은 대부분 재택으로 일하고 있었다. 원격으로 일하는 것에 너무 익숙해진 이들은 “사무실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 돌아오라고 하면 회사를 그만두거나 원격근무가 되는 다른 직장으로 옮기겠다”고 서슴없이 말했다. 직원들이 사무실로 출근하지 않아도 오히려 매출이 오르는 것을 경험한 테크회사들은 이런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알고 지내던 똑똑한 Z세대 젊은이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빅테크 대기업 대신 고성장 스타트업에 들어가 만족하며 일하고 있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실리콘밸리의 인공지능 반도체와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직원을 각각 만났는데, 이들이 입사하고 일년 만에 직원수가 수백 명에서 1000명 이상으로 늘었다고 한다. 물론 그 직원들 대부분은 미국 전역의 집에서 일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전환과 대규모 사직이 미국의 산업계와 일자리의 모습을 바꾸고 있다. 코로나가 물러가도 팬데믹 이전 사회로 복귀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결국 한국도 마찬가지다. 우리도 이런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유연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을 더 많이 육성해야 한다.
2022-01-03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