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편작의 본래 이름은 진월인(秦越人)이었다. 사람들은 그가 죽은 사람도 살려낼 정도라며 ‘신의’라는 별칭까지 붙여 주었다. 실제로 그는 사람들이 보기에 죽은 사람을 살려내기도 했다. 그가 ‘괵’이라는 나라에 갔을 때 태자가 죽었다고 온 나라가 슬픔에 잠겨 있었다. 그는 태자를 살려낼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 그리고 침술과 약술 등을 이용해 곧바로 태자를 깨어나게 했다. 괵나라 사람들의 생각처럼 태자는 사실 죽은 상태가 아니었다. 진월인은 스스로 살 수 있었던 사람을 살려낸 것뿐이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편작’은 진월인에게만 붙는 별칭이 되고, 진월인의 새로운 이름이 됐다.
편작이 위대한 의사가 된 이유는 과학적인 치료의 기본을 따랐기 때문이다. 그가 살던 시대는 주술적인 것을 통한 치료가 흔한 때였다. 편작은 이런 것을 버리고 환자의 동작과 호흡, 얼굴색 등을 자세하게 관찰했다. 그는 맥박에 따른 진단에도 능했다고 전한다. 그는 이 결과에 철저히 따른 치료를 할 뿐이었다.
한자 ‘의’(醫)는 ‘의학’이나 ‘의술’, ‘의사’ 등을 가리킨다. ‘앓는 소리 예’(?)와 ‘닭(술) 유’(酉)가 합쳐진 글자다. 화살(矢)에 맞아 다친 상처를 알코올로 소독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주술적이지 않고 과학적이다. 편작 같은 이들의 정신이 담긴 듯하다. 의사는 여기에 ‘스승 사’(師) 자를 붙였으니 본받을 만한 대상이라는 의미가 더해진다. 영어 ‘닥터’(doctor)는 ‘가르치다’를 뜻하는 라틴어 ‘도케오’(doceo)에서 왔다고 한다. 의사에 대한 태도에서 동서양이 같아 보인다.
편작은 부인을 소중히 여기는 한단이란 곳에서 부인과 의사가 됐다. 주나라 낙양에선 노인을 공경한다는 말을 듣고 노인병을 고치는 의사가 됐고, 진나라에서는 어린이를 존중한다는 말을 듣고 어린이를 고치는 의사가 됐다고 한다. 그에게 환자란 말은 주술적이었다.
wlee@seoul.co.kr
2020-09-07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