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언론매체들은 ‘작년’처럼 ‘금일’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어쩌다 ‘금일’이라고 쓰인 원고가 보이면 쉽게 ‘오늘’로 수정된다. ‘금년’도 ‘올해’로 수정되는 게 당연시된다. 애초부터 대부분 ‘올해’라고 쓰는 일이 더 많다.
‘세대’도 그런 말 가운데 하나다. ‘가구’와 같은 말로 쓰이는 ‘세대’도 언론매체들은 대부분 ‘가구’로 바꾼다. ‘세대’와 ‘가구’는 똑같이 한자어이지만, ‘세대’는 일본식 한자어라는 굴레가 씌워져 있었다. 국어사전에는 ‘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이라는 뜻으로 ‘가구’와 동의어로 올라 있다. 그렇지만 언론매체에서는 ‘가구’가 된다.
통계청이 지난해 “2019년 기준 전체 10가구 중 3가구(30.2%)가 1인가구”라고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언론매체들은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30.2%가 1인가구라는 사실을 전했다. 지난 4월에는 행정안전부 보도자료를 인용해 “올 들어 1인가구가 910만 가구(39.5%)를 돌파했다”고 알렸다. 불과 1년 정도 사이에 1인가구가 9.3% 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정확한 사실이 아니었다.
통계청은 언론매체처럼 ‘가구’라고 표현한다. 행정안전부는 ‘가구’가 아니라 ‘세대’라고 한다. 한데 통계청과 행안부는 ‘가구’와 ‘세대’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통계청의 ‘가구’는 생활 단위 개념으로 이 말을 쓴다. 혼자 살림하며 살면 1인가구고, 둘이 살면 2인가구다. 행안부의 ‘세대’는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한다. 혼자 살며 독립된 세대주라면 ‘1인세대’가 된다. 홀로 세대 분리를 한 경우다. 세대 분리를 한 세대주 2명이 한 가구에 살 때 통계청 조사에서는 ‘2인가구’가 되지만, 행안부 자료에는 두 개의 ‘1인세대’로 기록된다.
‘세대’는 ‘지난해’처럼 자동으로 ‘가구’라 하면 문제가 생긴다. 용어와 개념의 정확한 정리가 필요하다. 혼란과 오해를 가져온다.
2021-05-3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