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으로 모자랐던 표트르 3세를 폐위시키고 권좌에 앉은 그녀에겐 고귀한 이상이 있었다. 러시아에 근대를 선물하겠다는 것이었다. 귀족이 주축인 입법위원회에 권력을 나눠 줬다. 폴란드를 병합하는 등 국부를 키우고 영토를 넓혔다. 학문과 예술을 진작시켰으며, 서구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외교적 위상을 갖추게 했다.
하지만 프랑스의 ‘태양왕’ 루이 14세, 영국의 조지 1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 등과 마찬가지로 어쩔 수 없이 절대군주였다. 남편을 암살했으며 거느린 정부만 10명에 이르렀다. 계몽주의도 통치의 방편이었을 뿐이다. 프랑스 대혁명 소식에 곧바로 권력을 회수하고 개인의 자유를 억압했다. 농민 봉기를 압살했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지난 25일 한 토론회 도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무원 사살’에 사과한 전통문이 전달됐다는 소식을 듣고 “‘자신의 입지나 내부 사정 때문에 김 위원장이 속도를 조절하는 거냐, 아니면 다른 통치 스타일을 지닌 거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데 내 느낌에는 계몽군주 같다”고 내뱉었다가 ‘요사스러운 입을 놀린다’는 거친 비난을 사고 있다.
잔인하게 왕위에 오른 것을 합리화하고 백성들을 위하는 척 볼테르 등의 계몽주의를 끌어다 쓴 군주들의 행태를 정확히 짚고, 고모부 장성택과 이복형 김정남을 처참하게 척살한 김정은 위원장의 권력 장악이 닮았다는 점을 지적했더라면 좋았을 일이다. 유 이사장의 본뜻은 김 위원장을 칭송하는 것보다 옛소련이나 북한처럼 최고지도자의 뜻만 존재하는 권위주의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은 현실적으로 ‘위로부터’ 주어질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려는 데 있었을 것이다.
프리드리히 1세는 “혼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빠르게 결정하는 스타일” 때문에 성공적인 계몽군주가 됐고, 예카테리나는 귀족들과 타협하느라 실패했다. 공교롭게도 계몽군주들이 활약하던 시기는 조선의 정조가 통치하던 시기와 일치한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을 정조와 연결 지으려던 여권 인사들과 지지자들의 언행이 비웃음을 샀었다. 계몽군주 얘기에 발끈하는 쪽도 그런 점 때문에 더욱더 거칠어지는 것 같아 볼썽사납다.
bsnim@seoul.co.kr
2020-09-2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