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생명을 위해 아낌없이 준다는 상징인 헌혈 증서가 최근 인터넷 사이트에서 거래되고 있다. “헌혈 유공장 명예장 택포 4만)에 판매합니다. 쪽지나 문자 주세요.” 헌혈 유공장 명예장은 대한적십자사가 100회 이상 헌혈자를 예우하는 차원에서 수여하는 훈장과 증서를 의미한다.
훈장을 사고파는 게시물은 온라인 물품 거래 사이트에 끊임없이 올라오는데 헌혈 횟수에 따라 거래가격은 비례한다.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자 예우는 헌혈 횟수에 따라 은장(30회), 금장(50회), 명예장(100회), 명예대장(200회), 최고명예대장(300회) 등으로 나뉜다. 은장은 1만∼1만 5000원, 최고명예대장은 최소 4만원 이상의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게시물에 적힌 거래 용도를 보면 장식 등 과시용이거나 분실 또는 수집 등이 주된 이유다.
물론, 헌혈자의 신분과 헌혈의 횟수 등은 실명제를 토대로 전산으로 관리되고 있어 헌혈하지도 않은 사람이 헌혈 훈장을 직장 등에 제출한다고 해서 인센티브 등을 받을 수는 없다.
개인 물품을 사고파는 것은 개인의 자유일 수도 있지만 헌혈 훈장의 본래 취지에서 벗어난 게 아니냐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런 형태의 매매가 잇따르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헌혈 훈장 수여와 관련한 규정이나 지침에 매매 행위에 대한 내용이 없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는 없다. 대한적십자사 부산혈액원의 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지속해서 실시하고 있다”면서도 “당사자에게 연락해 매매를 지양해달라고 당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헌혈 훈장 매매를 두고 대부분의 헌혈자는 거부감을 드러내면서도 현행 예우 제도의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 수십 년째 헌혈에 매진하고 있는 한 50대 남성은 “과거에는 전혈만 헌혈 횟수가 인정돼 은장이나 금장을 받는 것도 힘들었는데 점차 다른 헌혈도 횟수로 인정되면서 예우의 수준과 가치가 사실상 낮아졌다”며 “헌혈 훈장의 품격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명예의 전당’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전국의 100회 이상 헌혈자 수는 4320명이다. 대한적십자사는 헌혈 훈장의 매매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훈장에 ‘비매품’이라는 표시를 넣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헌혈 유공장 거래. 내이버 캡처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자 예우는 헌혈 횟수에 따라 은장(30회), 금장(50회), 명예장(100회), 명예대장(200회), 최고명예대장(300회) 등으로 나뉜다. 은장은 1만∼1만 5000원, 최고명예대장은 최소 4만원 이상의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게시물에 적힌 거래 용도를 보면 장식 등 과시용이거나 분실 또는 수집 등이 주된 이유다.
물론, 헌혈자의 신분과 헌혈의 횟수 등은 실명제를 토대로 전산으로 관리되고 있어 헌혈하지도 않은 사람이 헌혈 훈장을 직장 등에 제출한다고 해서 인센티브 등을 받을 수는 없다.
개인 물품을 사고파는 것은 개인의 자유일 수도 있지만 헌혈 훈장의 본래 취지에서 벗어난 게 아니냐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런 형태의 매매가 잇따르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헌혈 훈장 수여와 관련한 규정이나 지침에 매매 행위에 대한 내용이 없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는 없다. 대한적십자사 부산혈액원의 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지속해서 실시하고 있다”면서도 “당사자에게 연락해 매매를 지양해달라고 당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헌혈 훈장 매매를 두고 대부분의 헌혈자는 거부감을 드러내면서도 현행 예우 제도의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 수십 년째 헌혈에 매진하고 있는 한 50대 남성은 “과거에는 전혈만 헌혈 횟수가 인정돼 은장이나 금장을 받는 것도 힘들었는데 점차 다른 헌혈도 횟수로 인정되면서 예우의 수준과 가치가 사실상 낮아졌다”며 “헌혈 훈장의 품격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명예의 전당’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전국의 100회 이상 헌혈자 수는 4320명이다. 대한적십자사는 헌혈 훈장의 매매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훈장에 ‘비매품’이라는 표시를 넣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