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바꾼 반전의 역사】 김종성 지음 지식의숲 펴냄
우리가 역사를 얘기할 때 ‘만약 그렇지 않았더라면’이라는 말을 종종 한다. 사실 따지고 보면 가장 부질없는 질문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런 가정을 떠올리면서 은근히 흥미를 돋운다. 하지만, 배울 점이 없지는 않다. 이모저모로 가정해 봐야만 역사에 대한 지식이 깊어지고 앞으로 닥칠 유사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도 높아질 것이다. 이제껏 어떻게 살아왔는지 가끔 되돌아보는 사람이 미래의 인생을 더 잘살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과거의 역사가 있기에 현재가 존재하고 미래를 예측 가능하게 한다.신간 ‘조선을 바꾼 반전의 역사’(김종성 지음, 지식의숲 펴냄)는 바로 이런 맥락에 의해 쓰인 책이다. 다시 말해 ‘반전’을 키워드로 역사의 숨겨진 이면을 살펴보고 있다. 반전이 없었다면 벌어졌을 가상의 상황을 보여주면서 ‘반전’이 주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통해 한국사 이해의 폭을 넓히면서 ‘반전’을 통해 바뀐 역사와 인물의 이야기에서 기지와 전략 등을 들여다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에 발생한 30가지의 사건을 놓고 각각의 사건이 전혀 다른 결론으로 종결됐다면 역사가 과연 어떤 방향으로 흘러갔을지 추리한다. 예를 들어 이성계가 압록강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이켜 왕조를 배반하지 않았다면 이성계는 어떻게 됐을까. 또 고려왕조는 어떻게 됐을까. 이러한 점을 추리해나가다 보면 순간의 선택이 역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설명한다. 퇴계 이황은 공부만 열심히 하는 사람이 아니라 공부와 정치 사이의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 그런 까닭에 신진세력인 사림파가 구세력인 훈구파를 제거하고 새 시대를 여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또 장희빈이 사약을 마시지 않고 중전 자리를 지켰다면 백 년 뒤의 정약용이 18년 유배라는 고난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는 대목 또한 눈길을 끈다. 변절의 대명사로 알려진 신숙주가 사실은 조선 전기의 태평성대를 이룬 인물이라는 것, 수양대군이 아니었어도 단종은 결국 어린 나이에 죽었어야 할 운명이라는 주장 등은 ‘가정’을 통해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다양한 역사적 진실을 다루고 있다. 남성과 권력자만 역사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여성과 비(非)권력자도 역사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례도 보여준다. 역사를 있는 그대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이리저리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새로운 생각을 유도한다. 1만5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09-01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