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혜석, ‘자화상’. 63.5x 50.0cm, 캔버스에 유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소장
때론 단 한 점의 그림이 그 화가의 삶을 응축해 보여준다. 나혜석의 ‘자화상’이 그렇다. 제목과 달리 그림 속 여인은 나혜석과 닮지 않았다. 하지만 고뇌와 우울, 체념이 뒤섞인 표정은 한국 여성 최초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자유연애주의자로서 시대와 불화할 수밖에 없었던 굴곡진 인생을 말없이 드러낸다.
제목에 쓴 ‘살아남은’은 비유가 아니라 현실이다. 전쟁과 독재, 가난 등 불행한 역사와 개인사의 굴레에서 영원히 사라졌거나 사라질 뻔한 위기에 몰렸던 그림들이 적지 않다. 나혜석과 구본웅의 그림 상당수는 전쟁통에 불탔고, 유영국의 초기작들은 피난 와중에 망실됐다. 엄혹한 시절을 견뎌낸 화가와 그림이 있었기에 한국 미술이 풍부해질 수 있었다는 사실을 새삼 돌아보게 한다.
저자는 대학에서 고고미술사를 전공하고, 10년 넘게 일간지 미술 전문기자로 일하고 있다. 미술사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성실하게 현장을 취재한 성과가 오롯이 담겼다. 화가 본인이나 유족, 연구자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고, 새로운 자료들을 찾아냈다. 윤중식이 1951년 피난 상황을 그린 스케치와 수채화가 담긴 스케치북은 저자가 유족에게서 처음 확인한 자료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9-18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