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답사기
하늘은 파랗고 시원함도 느껴지는 지난 26일 오전, 주택가 사이 길을 지나 남정현 작가가 살고 있는 가옥으로 향했다. 1965년 필화 사건의 주인공인 작가는 ‘분지’라는 작품 때문에 고초를 겪었다고 한다. 내용이 궁금해졌다. 작가가 대문 밖까지 나와서 우리들을 반겨 주셨다. 곱상한 겉모습만 봐서는 알 수 없지만 이야기를 듣고 나니 치열한 삶이 마음으로 느껴졌다. 일행 모두가 같은 마음인 것 같았다.전혜경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서울미래유산연구팀
한참을 걸어 김수영 문학관에 들렀다. 문학관 1층으로 들어서니 풀들이 움직이는 화면이 눈에 들어왔다. 입구 쪽에 ‘풀’이라는 시가 적혀 있는데 그 옆에 보이는 화면 속 풀들이 사람이 지나가면 시의 내용처럼 한쪽으로 누웠다 일어났다. 다른 쪽 벽면에는 낱말 자석들이 붙어 있어서 시를 직접 써 볼 수 있었다. 또 김수영의 시를 직접 낭송하고 들어 볼 수 있는 시설도 있어서 문학관을 재미있게 둘러볼 수 있었다. 시 낭송으로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라는 시를 들었는데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라는 구절이 찔리듯이 다가왔다.
연산군 묘에는 5구의 묘가 있었다. 연산군 묘에서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는 원당샘공원의 600년 된 은행나무가 이 장소의 역사성을 보여 주는 듯했다. 세종대왕의 둘째 딸인 정의공주묘를 지나 간송옛집으로 향했다. 간송 전형필 선생이 기거했던 곳으로 100년 정도 된 한옥이었다. 전형필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을 사들일 때는 값을 깎지 않고 사들였다고 한다. 그 혜택을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고 미래의 후손들도 그 혜택을 누릴 것이다. 도봉구 하면 도봉산이 가장 먼저 떠올랐는데 이제는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는 곳으로 떠올리게 될 것 같다.
전혜경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서울미래유산연구팀
2017-08-31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