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對중국.북한 특사설 가능성 있나

박근혜, 對중국.북한 특사설 가능성 있나

입력 2010-08-25 00:00
수정 2010-08-25 1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1일 이명박 대통령과 비공개 회동을 가진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대북 또는 대중 특사설’이 정치권에서 거론돼 주목된다.

 특히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이날 자국 인질 석방 명목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중국의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가 6자회담 재개 협의차 26일부터 방한하는 점 그리고 국내에서도 ‘천안함 출구전략’ 필요성이 제기되는 등 한반도 정세가 요동칠 조짐을 보인다는 점에서 특사설이 자주 거론된다.

 이 대통령 당선인 시절인 지난 2008년 1월 당선인 특사로 중국을 방문한 점과 2002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면담한 박 전 대표의 이력도 특사설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한 친박(친박계) 의원은 25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박 전 대표가 회동 내용에 대해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언급한 부분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회동에서 이 대통령이 현재 중국 및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브리핑이 있었을 것이고,당장은 아니더라도 양 측과 관계개선을 해야 하는 기회가 오면 역할을 해달라는 얘기가 나왔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친박인 유기준 의원은 전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남북관계나 대중관계 회복을 위해 특사로 나서는 방안을 검토할 만 하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 친이(친이명박)계 당직자도 사견을 전제로 “특사 역할이 회동에서 언급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 대통령으로서도 북한 또는 중국과 관계개선을 위한 특사를 지명한다면 굳이 다른 사람이 아닌 박 전 대표에게 맡기는 것이 나을 수 있고,박 전 대표로서도 국제적인 정치인이라는 이미지를 심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현재로서는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북한의 사과를 비롯한 ‘책임있는 행동’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인 만큼 ‘박근혜 특사설’은 시기상조라는 시각이 다수인 것으로 보인다.

 한 친박 의원은 “천안함 사태로 불거진 대북 제제가 전 세계적 이슈인 만큼,‘박근혜 특사설’도 시기상조일 수 밖에 없다”고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한편 청와대측은 ‘박근혜 특사설’에 대해 “아는 바 없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