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 연구용역 결과…”’신속이송 최우선’ 통념과 차이”
심정지 발생 현장에서 전문적인 심폐소생술이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국민안전처는 김기운 아주대 교수(응급의학과)팀에 의뢰해 ‘현장전문소생술 활성화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생존율이 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시범사업은 경기도 수원시 구급대원 80명과 응급의학과 전문의 7명을 투입해 지난 6월 한 달간 진행됐다.
연구진은 시범사업에서 일반적인 구급현장 대응과 달리 구급대원의 현장심폐소생술 시간을 늘리고(평균 9.8분→평균 24.9분), 화상통화로 응급의학전문의의 의료지도와 약물투여를 병행했다.
현장심폐소생술 지원과 신속한 이송을 위해 구급차 2대도 동시에 출동시켰다.
이런 현장심폐소생술 강화 조처를 적용한 결과 시범사업 기간 심정지 환자 111명의 ‘병원도착 전 생존율’은 작년 같은 기간 95명과 비교할 때 4.2%에서 21.6%로 5.1배 높아졌다.
또 생존퇴원율은 3.1배(3.2%→9.9%), 정상복귀를 뜻하는 ‘신경학적 완전회복 퇴원율’은 7.4배(1.1%→8.1%)로 각각 증가했다.
연구진은 이번 시범사업 결과를 볼 때 119구급대원의 현장전문소생술이 환자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작년과 올해(시범사업) 심정지 환자 집단 모두 응급실에 도착한 후 순환활동(심박동 재개)이 돌아온 경우 생존자가 한 명도 없었다.
반면 이번 시범사업에서 현장심폐소생술을 10분 이상 지속한 경우에 17명이 자발순환을 되찾았고, 결국 높은 생존율로 이어졌다.
일반적인 현장대응과 같이 약 10분 만에 현장심폐소생술을 종료하고 이송에 돌입했다면 살릴 기회조차 놓쳤을 환자들이다.
시범사업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심정지 환자 발생 현장에서 구급대원이 30분 정도 전문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면 병원 도착 전 순환회복의 확률이 높고 궁극적으로 ‘죽을 수도 있는 목숨’을 상당수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안전처는 “심정지 환자 발생 현장에서 30분은 응급실에서 30분과는 그 가치를 따질 수 없이 중요한 시간으로, 이는 ‘빨리 병원으로 가야 한다’는 기존의 통념과 배치된다”며 “보호자는 현장이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장소라는 점을 인식하고 구급대원을 믿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