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21개 연안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34년 간 10.3㎝가량 상승했다. 특히 새만금이 조성되는 군산 해수면이 연평균 3.41㎜씩 높아져 서해권에서 가장 높은 상승을 보였다. 국립해양조사원 자료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21개 연안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34년 간 10.3㎝가량 상승했다. 매년 3.03㎜씩 바닷물이 차오른 것이다. 해수면 상승속도 역시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최근 10년(2013~ 2022년)간 해수면 평균 상승률(연 4.51㎜)이 지난 30년(1993~ 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3.41㎜)보다 1.3배 높았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전북 군산 해수면이 연평균 3.41㎜씩 높아져 울릉도(5.31㎜)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 문제는 이곳에 새만금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새만금은 군산과 김제, 부안 바다를 메우는 사업이다. 1990년 중반에 시작된 새만금 사업은 33년째 진행 중이다. 최근 10년(2011~2021년)간 8조 4000여억원을 투입했지만, 고작 절반도 매립하지 못했다. 개발 면적도 넓고 장기적으로 진행되다 보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판짜기가 반복됐다. 이번 정부 들어서도 적정성 검토를 이유로 올 상반기까지 SOC 사업을 멈춰 세웠다. 여의도 면적(2.9㎢)의 두배가 넘는 6.6㎢의 규모의 수변도시 역시 지난해 분양할 거라는 기대와 달리 절차적 문제와 인구주택계획 재검토 등을 이유로 늦춰졌다.
34년간 국내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상승 분포도. 국립해양조사원 자료
시나리오별 우리 주변해역 평균 해수면 전망 그래프. 국립해양조사원 자료
새만금개발청은 해수면 상승 추이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김경안 청장은 “SOC 재검토와 매립은 별개의 문제로, 2030년이면 80%가량 매립이 될 것”이라면서 “현재로선 해수면 상승이 새만금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이지만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