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 ‘집쥐’가 드글드글?… 정부, 관리 사업 착수

독도에 ‘집쥐’가 드글드글?… 정부, 관리 사업 착수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4-05-19 11:18
수정 2024-05-19 1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동해에서 바라본 독도. 서울신문DB
동해에서 바라본 독도. 서울신문DB
천연보호구역인 독도에 집쥐가 급증하면서 생태계 교란 우려가 나오자 당국이 관리 방안 마련에 나섰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내년 5월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퇴치·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독도에 집쥐가 유입됐다는 사실은 2010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때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사체가 발견되면서 처음 확인됐다. 동도에서는 2015년부터 집쥐가 확인되고 있다. 집쥐는 현재 독도에 자연발생적으로 서식하는 사실상 유일한 포유류다. 집쥐는 독도에서 바다제비와 볏과 식물류를 먹어 치우고 곳곳에 굴을 파고 있는 등 생태계를 교란하기에 방제가 필요하다.
이미지 확대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독도 내 집쥐 수는 2021년 ‘100~150마리’로 추산됐다. 지난해 3차례 현장 조사 결과를 보면 1차 때 동도에선 독도경비대 태양광 발전시설·헬기장·영해기점표기석 등 7개 지점에서 집쥐 배설물이 확인되고, 태양광 발전시설과 등대 주변에서 집쥐가 판 굴이 확인됐다.

독도 내 집쥐가 가장 많이 산다고 추정되는 곳은 서도 주민 숙소다. 5월부터 10월까지 독도에 설치돼 운영된 5대 무인 센서 카메라 영상 2만 9410장을 분석한 결과 집쥐는 총 716회 포착됐다.

집쥐의 독도 유입 경로는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 독도에서 가장 가까운 육지는 경북 울진군 죽변항 인근으로, 직선거리로 약 216㎞ 떨어져 있다. 다만 독도를 드나드는 선박을 함께 타고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지 확대
독도에 설치된 포획틀에 잡힌 집쥐들.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독도에 설치된 포획틀에 잡힌 집쥐들.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집쥐의 완전 박멸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관계 당국의 판단이다. 집쥐는 먹이가 다양한 잡식성인 데다가 지역 내 특이한 천적이 없고, 암수 한 쌍이 1년에 새끼를 460마리까지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강하다.

집쥐 추가 유입을 막으려면 배와 사람의 왕래를 완전히 끊어야 하는데, 독도의 역사·문화적 중요성을 생각할 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완전한 박멸보다는 서식지별 최적 퇴치 방안 마련, 제거 사업 추진 및 폐사체 처리 방안 강구, 독도 내 집쥐 유입 요인 분석 및 추가 유입 방지 대책 마련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독도 집쥐 문제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독도에 접근하기 어렵고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하는 문제 등 때문에 (관리)사업 추진이 잘 안되다가 최근 관계기관이 의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며 “실태조사와 적정 관리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