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떨어진 중동과 美서 ‘닮은꼴 화살촉’… 텔레파시 통했나

수천㎞ 떨어진 중동과 美서 ‘닮은꼴 화살촉’… 텔레파시 통했나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0-08-05 17:36
수정 2020-08-06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신석기 ‘플루팅 포인트’로 본 고인류사

이미지 확대
예멘과 오만 등 아랍 지역에서 북미 원주민이 사용한 화살촉과 유사한 유적들이 발굴됐다. 아랍 유적은 미국의 것보다 2000년 정도 늦은 7000~8000년 전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적이 발견된 예멘의 마냐자흐 지역의 동굴 모습.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제공
예멘과 오만 등 아랍 지역에서 북미 원주민이 사용한 화살촉과 유사한 유적들이 발굴됐다. 아랍 유적은 미국의 것보다 2000년 정도 늦은 7000~8000년 전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적이 발견된 예멘의 마냐자흐 지역의 동굴 모습.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제공
코로나19가 7개월 넘게 전 세계를 휩쓰는 이유는 숙주를 쉽게 옮겨 간다는 바이러스 특성도 있지만, 이전과 달리 사람들이 세계 곳곳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는 특성도 한몫하고 있다.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수많은 물류와 문화 등도 운송수단과 미디어의 발달 덕분에 지구 반대쪽에 있는 나라까지도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지금과 달리 운송수단이 발달하지 않고 미디어라는 것도 없을 때는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문화가 확산될 수 있었을까.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고고학연구센터(Inrap),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고고학과,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예멘과 오만 같은 아랍 지역 국가들에서 ‘플루팅 포인트’가 새겨진 화살촉과 창 같은 석기 유물을 발견하고 미국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8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이미지 확대
플루팅 포인트는 북미 원주민들이 돌로 화살촉이나 창을 만들 때 날의 가운데가 불룩하게 올라오도록 해 촉을 날카롭게 만드는 방식으로 최근 아랍 지역에서도 플루팅 포인트 양식을 가진 화살촉과 창이 발견됐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제공
플루팅 포인트는 북미 원주민들이 돌로 화살촉이나 창을 만들 때 날의 가운데가 불룩하게 올라오도록 해 촉을 날카롭게 만드는 방식으로 최근 아랍 지역에서도 플루팅 포인트 양식을 가진 화살촉과 창이 발견됐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제공
플루팅 포인트는 돌로 화살촉이나 창을 만들 때 날카롭게 만들기 위해 가운데 부분을 불룩하게 만드는 기술로 고고학계에서는 석기 제작의 정교함을 보여 주는 사례로 제시되고 있다. 지금까지 플로팅 포인트 방식은 미국 원주민(아메리칸 인디언)들의 석기에서만 발견됐던 독특한 문양과 제작 방식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미지 확대
연구자들이 신석기시대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 돌로 된 도구를 이용해 플루팅 포인트를 만드는 실험을 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제공
연구자들이 신석기시대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 돌로 된 도구를 이용해 플루팅 포인트를 만드는 실험을 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제공
사실 미국 원주민들이 동아시아인의 후예라는 사실은 유전자 분석을 이용한 DNA고고학을 통해 밝혀진 바 있다. 2018년 미국 알래스카대 인류학과, 덴마크 코펜하겐대 지리유전학센터 공동연구팀은 알래스카에서 발견된 1만 1500년 전 어린이 유골 화석에서 DNA를 추출해 분석한 뒤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대륙의 현생인류 167명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미국 원주민의 조상은 3만 6000여년 전 동아시아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분석에 따르면 이들 동아시아인은 빙하기시대에 걸어서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거쳐 북미 지역으로 진출했고 이후 캘리포니아 북쪽 해안을 따라 수천 년 동안 이동해 남미로 진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팀에 따르면 중동 지역에서 발굴된 유물의 플루팅 포인트는 7000~8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미국 원주민들의 기술보다는 2000년 정도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미국 원주민들 고유의 기술이 멀리 떨어져 있는 중동 지역에서 어떻게 발견됐는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됐다.

연구팀은 중동 지역과 북미 지역에서 발견된 플루팅 포인트 유물을 정밀 분석한 결과 북미 지역에서는 화살과 창을 날카롭게 하기 위한 기능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중동 지역의 플루팅 포인트 유물은 기능성보다는 화려함 같은 미적인 부분과 기술의 정교함을 보여 주는 것이 주목적이었다고 추정했다. 실제로 연구팀은 석기시대 사용됐던 것과 비슷한 형태의 도구를 이용해 중동식과 북미식 플루팅 포인트 창과 화살촉 제작을 시도했다. 그 결과 중동식 플루팅 포인트 화살촉과 창을 만드는 데 훨씬 오랜 시간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의 마이클 페트라글리아 교수는 “중동과 미국이 수천㎞ 떨어져 있다는 지리적 측면에서나 유물의 세부적인 부분을 볼 때 이번 연구는 비슷한 문화나 기술이 다른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독립적 발명’의 좋은 사례”라고 설명했다. 페트라글리아 교수는 “비슷한 형태나 기능의 유물이 지리적으로 동떨어진 곳에서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됐다고 설명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보여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20-08-06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