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제조과정 수백년간 유지”

“재료·제조과정 수백년간 유지”

입력 2011-09-24 00:00
수정 2011-09-24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네스맥주 맛 책임자 퍼겔 머레이

이미지 확대
22일은 아일랜드 문화의 아이콘과 같은 기네스 탄생 252돌을 기념하는 축제의 날이다. 기네스 맥주의 창립자인 아서 기네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일명 ‘아서스 데이’(Arthur’s day)로 부른다. 이날 기네스 맥주의 산실인 더블린의 세인트 제임스 양조장을 찾았다. 기네스 맛의 총책임자 퍼겔 머레이(48) 마스터 브루어는 자신의 맥주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다. 그는 완제품을 맛보는 수준을 넘어 보리 제분부터 분쇄, 가열, 발효, 숙성등 맥주 양조의 전 과정을 책임지고 있다. 머레이 브루어는 “아일랜드에서 파는 맥주의 3분의1이 기네스”라며 “이곳 사람들에겐 인생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하는 술”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그때나 지금이나 기네스 맥주에 쓰는 재료, 만드는 과정은 거의 비슷하다.”며 “맛이 수백 년 동안 유지되고 있는 점도 이 맥주가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아일랜드 왕실의 문양을 기네스의 로고로 사용할 정도로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기네스 맥주는 아일랜드 이외에서도 고정 팬들이 많다. 전 세계 생산량의 69%가 150여개국으로 수출돼 팔린다. 우리나라에도 이 흑맥주를 찾는 마니아층이 꽤 두껍게 형성돼 있다. 아사히, 하이네켄, 밀러에 이어 올해 상반기 수입맥주시장 점유율 4위를 기록할 정도다. 머레이 브루어는 “지난해보다 한국 판매량이 47%나 늘었다고 들었다.”며“성장률로 치면 세계 최상위권”이라고 말했다. 그는“한국 시장은 맥주문화가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기네스의 훌륭한 맛을 찾는 사람도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그가 말하는 ‘기네스를 훌륭하게 즐기는 법’은 의외로 간단했다. 단맛과 볶은 보리 맛, 쓴맛을 느끼면서 눈으로 보고 즐기는 재미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 그는 1983년 아일랜드 더블린의 트리니티 대학을 졸업한 뒤 곧바로 기네스에 입사해 29년 동안 한 우물만 판 장인(마스터)이다.

더블린(아일랜드)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1-09-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