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역설…5만원대 디저트·7천원대 커피 ‘불티’

불황의 역설…5만원대 디저트·7천원대 커피 ‘불티’

입력 2015-02-09 07:38
수정 2015-02-09 1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화점 디저트류 매출도 11~29%↑… ’팍팍한 삶에 대한 스스로의 위로’

불황 속에 전반적으로 소비가 크게 위축됐지만, 값이 비싼 고급 디저트·커피·초콜릿 등은 오히려 더 잘 팔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팍팍한 사회·경제 환경 탓에 큰 사치는 누리지 못하더라도, 먹을 것만큼은 프리미엄급을 제대로 맛 보겠다는 이른바 ‘작은 사치’ 트렌드가 갈수록 뚜렷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미지 확대
불황에도...5만원대 디저트·7천원대 커피 ‘불티’
불황에도...5만원대 디저트·7천원대 커피 ‘불티’ 불황 속에 전반적으로 소비가 크게 위축됐지만, 값이 비싼 고급 디저트·커피·초콜릿 등은 오히려 더 잘 팔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팍팍한 사회·경제 환경 탓에 큰 사치는 누리지 못하더라도, 먹을 것만큼은 프리미엄급을 제대로 맛 보겠다는 이른바 ‘작은 사치’ 트렌드가 갈수록 뚜렷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진은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및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판매하는 딸기 디저트 뷔페(4만 5천원).
인터컨티넨탈 호텔 제공
◇ 4만~5만원대 호텔 딸기디저트 2~3주 예약 꽉 차 = 9일 호텔·유통업계에 따르면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JW메리어트 호텔 서울·쉐라톤 그랜드 워커힐·르네상스 서울 등 서울시내 주요 특급호텔들은 ‘딸기 디저트 뷔페’를 운영하고 있다.

제철 과일 딸기로 만든 수 십가지의 고급 디저트를 한 자리에서 맛 볼 수 있는 이들 상품의 가격은 4만~5만원대(성인기준)로, 메뉴가 디저트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하지만 지금 예약해도 3주 뒤에나 자리가 날 만큼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컨티넬탈 서울의 ‘스트로베리 컬렉션(성인 4만5천원)’은 이미 2월 셋째주까지 예약이 100% 모두 찬 상태다.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의 ‘베리베리 스트로베리(성인 5만8천원)’ 뷔페 역시 셋째주까지 주말 예약률이 90%를 웃돌고 있다.

호텔들이 영국 귀족 사교문화를 본 떠 내놓은 ‘애프터눈 티’ 메뉴도 마찬가지다. 고급 수입 차(tea)와 간단한 디저트로 구성된 세트의 가격은 3만~9만원대.

지난해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의 애프터눈 티(3만7천~5만7천원) 매출은 2013년의 2.5배에 이를만큼 ‘대박’을 터뜨렸고, 올해 역시 지난해보다 더 손님이 많다.

◇ 초콜릿 두 알에 9천원이라도 줄 서 먹는 백화점 디저트 = 만만치 않은 가격에도 백화점 디저트류 역시 줄을 서서 먹을 정도로 인기다.

지난 5일 신세계 본점에서는 프랑스 고급 수제 초콜릿 ‘라메종 뒤 쇼콜라’가 문을 열었다. 지름 2cm가량 초콜릿 두 알 값이 9천원일만큼 백화점 입점 디저트류 중에서도 비싼 편이지만, 개장하자마자 매출이 예상의 두 배에 이르며 디저트군 매출 상위 5위권으로 뛰어올랐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품목은 ▲ 트러플(190g·10만3천원) ▲ 프랄린 기프트 박스(16조각·6만3천원) ▲ 스몰제스처 기프트박스(16조각·6만3천원) 등 고가 제품이 대부분이다.

신세계 강남점과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의 일본 디저트 브랜드 ‘몽슈슈’ 매장에서는 대표 메뉴 ‘도지마롤’을 사려고 손님들이 줄을 선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도지마롤의 가격이 1만1천원(하프)~1만9천500원(롱)으로 일반 직장인의 한끼 식사보다 훨씬 비싸지만 오후 3~4시면 준비된 물량이 동나기 일쑤다. 이 같은 인기에 힙입어 몽슈슈 매장의 월평균 매출은 약 5억원에 이른다.

작년 11월 롯데백화점 대전점에서 문을 연 ‘성심당 케익부띠끄’는 식품 매장임에도 이례적으로 지하가 아닌 백화점 1층에 자리를 잡았다. 그만큼 단위 면적당 매출이 많다는 뜻이다. 롤에 생크림 채운 ‘순수롤’(1만2천원), 호두 아몬드 등 견과류 올린 ‘성심성의 파운드 케익’(1만 6천원) 등이 대표 메뉴다.

밸런타인데이 초콜릿도 고가의 수입·수제 제품만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고 있다. 온라인쇼핑사이트 G마켓(www.gmarket.co.kr)이 최근 1주일(1월27일~2월2일) 동안 초콜릿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고급 초콜릿으로 분류되는 수제·수입이 작년 같은 기간의 3.6배로 크게 늘었다. 특히 벨지안·길리안 등 수입 초콜릿 판매량이 9.4배로 급증했고, 수제도 5.2배로 불었다. 이에 비해 일반 초콜릿의 증가율은 65%에 머물렀다.

◇ 6천~1만2천원 ‘스페셜티 커피’ 판매 2배로 늘어 = 커피 역시 이른바 고급·프리미엄 제품인 ‘스페셜티 커피’의 수요만 급증하고 있다.

스타벅스가 작년 3월 처음 선보인 스페셜티 커피 전문 매장 ‘스타벅스 리저브’는 생두 신선도·수분율·향미 등을 기준으로 80점(100점 만점) 이상인 커피를 제공한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커피 가운데 상위 7% 내 프리미엄급만 사용되고, 특수 진공압착 추출기로 커피를 만드는만큼 가격도 6천~1만2천원으로 일반 커피보다 높다.

그러나 비싼 값을 치르고도 최고급 커피를 맛보려는 사람들이 줄을 잇고 있다. 스타벅스 서울 소공동점의 리저브 커피는 작년 3월 개장 초기 하루 평균 30여잔이 팔렸지만, 최근에는 판매량이 두 배인 60여잔 이상으로 급증했다.

현재 전국 12개 도시 36개점으로 늘어난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에서는 1개 매장당 하루 평균 50여잔의 리저브 커피가 판매된다. 이는 일반 커피 중 가장 제조방식이 비슷한 핸드드립 ‘오늘의 커피(3천800원)’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실적이다.

작년 11월 개장한 엔제리너스커피 ‘스페셜티 세종로점’에서도 전체 매출 가운데 17%를 세 가지 종류의 고급 스페셜티(7천~1만원)가 차지하고 있다. 보통 일반 매장의 아메리카노(3천900원) 매출 비중이 50% 인데 이 스페셜티 지점의 경우 40%대로 떨어졌다. 고급 스페셜티 커피 인기 때문에 값이 거의 절반에 불과한 아메리카노(3천900원) 커피가 그만큼 덜 팔린다는 얘기다.

SPC 그룹이 지난해 9월 광화문 우체국빌딩 1층에 문을 연 스페셜티 커피 매장 ‘커피앳웍스’의 매출도 달마다 계속 5~10%씩 계속 늘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흑맥주를 연상시키는 질소 충전 커피 ‘클라우든 앤 커피’로, 가격은 6천원선.

유통업계는 이 같은 고가·고급 식음료 선호 현상에 ▲ 스스로에 대한 선물(셀프 기프팅) 문화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주목 욕구 ▲ 소득 양극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취업난과 높은 집값 등으로 저축을 통한 중장기 계획이 여의치 않자, 자신에 대한 ‘위로’, ‘선물’ 차원에서 당장 제대로 된 맛이라도 누리는데 주저하지 않고 지갑을 연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작년말 롯데백화점이 20~60대 방문고객 1천명을 대상으로 “자신을 위해 연말 선물을 따로 준비하겠느냐”고 묻자 95%가 “그렇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