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실적 부풀리기 의혹… 총선 출마설도
전방위 사퇴 압력에도 꿋꿋하게 버티던 안홍철 한국투자공사(KIC) 사장이 6일 돌연 사표를 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안홍철 한국투자공사(KIC) 사장
지난달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감에서도 때로는 ‘묵비권’으로, 때로는 ‘사과’로 업무 수행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지난 10년 동안 KIC 사장들이 임기를 제대로 채우지 못하고 관뒀다”면서 “그런 일이 반복되면 KIC뿐 아니라 직원에게도 굉장히 안 좋고, KIC의 대외 평판도 안 좋아진다”고 했을 정도다.
그랬던 그가 갑작스럽게 사표를 던진 데에는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는 시각이 대체적이다. 일각에서는 안 사장의 버티기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해석이 나온다. 박근혜 대통령 대선 캠프에서 활동했던 안 사장은 2013년 12월 취임했다.
하지만 대선 기간 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거칠게 비난한 것이 문제가 돼 야당의 거센 사퇴 압박을 받아 왔다.
‘막말 트위터’가 공개되면서 정부도 곤란해졌다. ‘안홍철 해임’을 앞세운 야당의 요구에 기재위는 파행을 거듭했고, 각종 정부 법안들이 기재위 문턱에서 번번이 좌절했다. 정부 관계자는 “나라 곳간을 관리하는 ‘한국재정정보원’ 설립도 2년 넘게 제자리걸음”이라며 “(안 사장의) 사퇴 없이는 한 발짝도 앞으로 못 나간다는 야당의 강력한 태도가 안 사장과 여당, 정부에 큰 부담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퇴할 수밖에 없는 저간의 사정이 생긴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돈다. 미국 프로야구단인 LA다저스의 지분 매입 추진으로 촉발된 감사원의 KIC 감사 결과가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다.
KIC가 추진한 각종 부동산 투자의 적정성과 투자실적 보고가 부풀려졌다는 의혹이 들린다. 내년 총선 출마설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KIC의 최대 행사인 ‘공공펀드 공동투자협의체(CROSAPF) 연차총회’가 최근 마무리됐다”면서 “이제는 큰 짐을 덜었다고 생각해 순리대로 일을 처리한 것”이라고 전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1-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