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기업부채 GDP 대비 90%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신흥국 위기 경보음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신흥국 기업(비금융회사)들이 갖고 있는 부채가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면서 국제적으로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기업 부채가 폭증한 나라는 홍콩과 중국이다. 2008년 말 GDP의 136% 수준이던 홍콩의 기업부채는 올 3월 말 226%까지 늘어났다. 중국도 증가 속도(99→161%)가 가파르다. 반면 우리나라는 104.4%에서 106.0%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문제는 부채의 구성이다. 신흥국의 투자적격등급 회사채는 에너지, 금융, 유틸리티(전기·가스·수도 등), 원자재 부문이 76.8%를 차지한다. 전 세계적으로 투자적격 등급 회사채 중 금융(32.6%)이 3분의1가량을 차지하고 다른 분야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점과 대비된다. 신흥국 채권이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에너지와 원자재 등에 집중되면서 불안한 투자자들이 투자적격 등급 회사채에서도 자금을 빼고 있다.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3일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이 많이 늘었다고는 하는데 외환보유액 보유 주체는 정부이지 기업이 아니다”라며 신흥국 기업 부채를 우려했다.
신흥국 기업은 미국 달러화 표시 채권을 많이 늘려 왔다. 미국의 돈풀기(양적완화) 정책에 힘입어 낮은 비용으로 달러화를 조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세계 금융회사들의 모임인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신흥국 정부 및 기업들은 내년에 6000억 달러를 상환해야 한다. 이 중 850억 달러(14.2%)가 미 달러화 표시 채권이다. 미 달러화가 강세를 띨수록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지는 것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신흥국의 기업 부채가 새로운 위기를 가져올 가능성에 적극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12-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