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비뇨기과 질환 군 장병이 는다

감염성 비뇨기과 질환 군 장병이 는다

입력 2016-12-28 07:37
수정 2016-12-28 07: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립선염·부고환염·요도염 ‘주의보’

비뇨기과 질환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군 장병이 매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세영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현역 군인 중 국군수도병원을 비롯해 21개 군 병원을 방문한 비뇨기과 질환 초진환자 7만2천248명을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비뇨기과 질환 초진환자는 ▲2008년 8천26명 ▲2009년 9천499명 ▲2010년 8천221명 ▲2011년 1만1천160명 ▲2012년 1만3천802명 ▲2013년 2만1천540명으로 2010년을 제외하고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상병 진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검진이 본격 시행된 2013년에는 초진환자가 급격히 늘어났다.

이 기간 전체 초진환자 가운데 소변 배출에 장애를 초래하는 요로결석이 9.8%(7천10명)로 가장 많은 발생 비율을 보였다.

이어 전립선염 9.4%(6천820명), 부고환염 8.2%(5천918명), 요도염 7.8%(5천612명), 정계정맥류 7.3%(5천238명) 등의 순서로, 감염성 비뇨기과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최세영 임상강사는 “비뇨기과 질환 초진환자 중 감염성 질환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면서 “입대하기 전부터 이런 질환을 본인도 모르게 앓고 있다가 군대에서 발견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평소 성관계를 할 때 청결을 유지하고 콘돔 등을 착용해 이런 감염성 질환을 예방해야 한다”며 “초기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로 충분히 나을 수 있으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다만 전립선염, 부고환염, 요도염 등과 같은 감염성 비뇨기과 질환은 성관계를 하지 않으면 주변 사람에게 전파될 확률은 매우 드물다고 설명했다.

또 요로결석의 경우 물을 많이 섭취해 소변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더불어 비뇨기과 질환을 겪는 군 장병이 매년 증가하는 만큼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군대 내 의료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최 강사는 “군의관 혼자서 군 장병 수백 명의 건강관리를 책임질 수는 없으므로 의료인력 충원이 필요해 보인다”며 “대부분 초기 비뇨기과 질환은 약물관리로 회복될 수 있지만, 이것마저도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 군부대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