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매출 年 8% 성장… 글로벌 톱3 부품사로 도약”

현대모비스 “매출 年 8% 성장… 글로벌 톱3 부품사로 도약”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4-11-20 00:29
수정 2024-11-20 06: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서 제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2년 뒤 양산
미래 모빌리티 기술로 지배력 강화

이미지 확대
이규석 현대모비스 대표가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주재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이규석 현대모비스 대표가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주재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가 2027년까지 연평균 매출 8% 성장과 영업이익률 5~6%를 달성하고 2033년까지 ‘글로벌 톱3’ 부품사로 도약하겠다고 19일 밝혔다.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기반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해 그룹사 의존도를 낮추고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투자자·애널리스트·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회사의 성장 방향성과 제반 전략 등을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2027년까지 연평균 매출 증가율을 8% 이상으로 올리고 수익성 측면에서는 5~6%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33년에는 부품 부문의 글로벌 완성차 대상 매출 비중을 40%로 높여 글로벌 톱3 부품사로 도약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올해 3분기 기준 현대모비스 매출에서 현대차와 기아 비중은 각각 40.7%, 35.2%로 총 75.9% 수준인데 이를 60%까지 낮추겠다는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보급형 전기차 구동 시스템을 개발하고 글로벌 수주도 확대할 계획이다. EREV는 하이브리드차와 비슷하게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모터를 모두 갖추고 있다. 하지만 엔진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배터리와 연결된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전기차다. 현재 설계 검증과 평가를 앞두고 있으며 2026년 말 양산이 목표다. 또 현 시장에 맞춘 120㎾급 ‘보급형 구동 시스템’도 내년까지 개발해 유럽과 인도 등 소형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 보급형 구동 시스템은 현재 전기차 시장 주력인 160㎾급 대비 30% 향상된 가격 경쟁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2024-11-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