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늘고 브랜드 찾고…

중소형 늘고 브랜드 찾고…

입력 2014-06-25 00:00
수정 2014-06-25 04: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변화하는 ‘아파트 7대 트렌드’

아파트 시장이 바뀌고 있다. 재건축 기대감에 녹슨 수돗물이 나오면 집값이 올라갔던 기현상이 퇴조하고 갓 지은 새 아파트가 더 각광받고 있다. 이름값이 붙은 브랜드 아파트도 강세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아파트 시장에 이런 7가지 트렌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고 24일 분석했다.

연구소가 내놓은 ‘아파트 시장 트렌드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전 주택시장은 만성적인 공급 부족에 시달린 탓에 공급자가 ‘갑’이었다. 하지만 인구증가율 둔화(1960년 16.8%→2010년 2.8%)는 수요자를 갑의 자리에 앉혔다. 1960년대 15%에 불과했던 1~2인 가구 비중이 2010년 48%로 껑충 뛴 것도 시장을 크게 바꿔놓았다. 다음은 7대 트렌드 키워드.

신규 재건축 연한이 20년에서 40년으로 바뀌면서 신축 아파트 선호도가 강해졌다. 2006년부터 발코니 확장이 가능해지면서 아파트 내부구조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중소형 1~2인 가구 증가 등으로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 공급 비중이 2013년 80%대로 다시 올라섰다. 다만, 꾸준한 수요 증가에도 가격 상승세는 둔화될 전망이다.

●개성 시장이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획일적인 형태의 평형 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59㎡, 84㎡, 114㎡ 일색에서 74㎡, 87㎡, 108㎡ 등으로 다양화됐다.

주상복합 2000년대 등장한 주상복합아파트는 반짝인기를 누렸다. 높은 분양가와 환기문제 등으로 이내 외면받았으나 최근 들어 타워형을 판상형으로 바꾸는 등 ‘자구노력’ 강화로 고객들의 시선을 다시 붙잡고 있다.

브랜드 서울의 브랜드 아파트와 브랜드 없는 아파트의 가격 차이는 올 1월 3.3㎡당 평균 1564만원에서 4월 1590만원으로 커졌다. 브랜드가 선택의 한 잣대가 된 것이다.

노후 지은 지 30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는 지난해 말 기준 30만 1200가구다. 2020년에는 122만 5000가구로 늘어나 사회 현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정부의 규제 완화로 노후 아파트 정비사업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디커플링 같은 지역이라도 역과의 거리, 아파트 구조, 단지환경 등에 따라 집값 편차가 달라지면서 집값 차별화(decoupling)가 심화될 것이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6-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