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부담에 ‘털썩’…2030세대 서울 아파트 매입비중 역대 최저

이자부담에 ‘털썩’…2030세대 서울 아파트 매입비중 역대 최저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2-08-02 15:44
수정 2022-08-02 15: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치솟는 집값에 ‘패닉바잉’(공황매수)에 나섰던 20~30대의 서울 아파트 매수세가 최근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전체 매매 거래 중 2030세대(20대 이하 포함)의 매입 비중은 24.8%(2014건 중 499건)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9년 1월 이후 월별로 가장 낮은 수치다.

2030세대의 매입 비중은 2020년 8월(40.4%) 처음으로 40%를 넘었고, 지난해 7월에는 44.8%까지 찍었다. 올해 극심한 거래 가뭄 속에서도 3월(40.7%)과 4월(42.3%)에도 40%를 넘었지만 5월 37.4%로 꺾이더니 6월 24.8%로 크게 줄었다.

집값 고점 인식에 금리까지 오르자 2030세대가 대출금리 상환에 부담을 느끼면서 매수세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중 인천(31.7%)과 경기(31.8%)도 기존 추세에 비해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6월 들어 낮아지긴 했어도 서울만큼 크게 떨어지진 않았다.

자산이 많지 않은 2030세대에게 서울 아파트 가격의 벽이 인천이나 경기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 기준 6월 아파트 중위매매 가격을 보면 인천이 3억 8400만원, 경기가 5억 4400만원인 데 비해 서울은 9억 6300만원에 달한다.



집값 하락 분위기도 매수세를 위축시키는 요인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2030세대의 매입 비중이 가장 낮은 곳은 성북구(21.8%)로, 이곳은 서울에서 집값 내림폭(-0.92%)이 가장 가파른 지역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