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의 원천, 머리보다 돈?

혁신의 원천, 머리보다 돈?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3-28 17:58
수정 2018-03-28 18: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세계 혁신기술 주도국 발돋움… 美 기업 빈자리 대체

‘혁신은 머리보다 돈?’
이미지 확대
중국이 세계 혁신기술 주도국으로 발돋움하면서 미국 기업들의 빈자리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중국 시진핑 정부의 신경제 육성 정책에 바탕한 정보기술(IT) 굴기, 강력한 예산 지원이 ‘실리콘밸리’로 대표되는 미국의 힘을 넘어서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제는 아이디어보다 든든한 자본력이 혁신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은 글로벌 50대 혁신 기업에 단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KT경제경영연구소가 28일 내놓은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7년 5년간 ‘매사추세츠공대(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50대 혁신기업 순위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 기업 비중이 최근 2년간 계속 감소했다. 2015년까지 3년 연속 74%를 유지하는 등 평균 69.6%로 가장 높았으나 2016년 64%, 지난해 62%까지 줄었다.

반면 중국 기업 비율은 2013년 4%에서 2017년 14%까지 늘었다. 중국 기업은 2016년 바이두(2위), 화웨이(10위) 등 5곳이 50위 안에 포함됐고, 지난해에는 아이플라이텍(6위), 텐센트(8위) 등 7개 기업이 포진했다. 5년간 기업 평균 비중도 9.2%로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독일(3.6%), 영국(3.6%), 일본(2.0%) 순서였다. 한국은 1.6%로 이스라엘, 스위스와 함께 6위권이었다.

보고서는 “실리콘밸리 기반의 벤처 사업에서 혁신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튼튼한 자본에서 혁신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산업별로는 컴퓨터, 커뮤니케이션 분야가 2015년까지 줄었다가 2016년부터 반등했다. 컴퓨터용 그래픽 장치업체 엔비디아는 2016년 13위에서 지난해 1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3차원(3D) 프린팅 회사인 데스크톱 메탈 등 4차 산업혁명에 연관된 신제조 분야가 진입한 것도 눈길을 끈다.

우리나라 기업은 2016년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유통기업 쿠팡이 44위로 유일하게 50위 안에 들었지만 지난해엔 한 곳도 들지 못했다.

MIT는 기존의 기업 평가 방식인 재무상태, 특허 개수, 명성 등을 배제하고 세상을 바꿀 혁신을 이뤘는지를 기준으로 해마다 50대 혁신 기업을 선정해 발표한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3-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