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9곳은 “지방 이전 계획 없다”..인력 문제·인프라가 ‘발목’

기업 10곳 중 9곳은 “지방 이전 계획 없다”..인력 문제·인프라가 ‘발목’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05-19 10:45
수정 2022-05-19 1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방 이전 고려 기업은 2%에 불과
기업 과반은 대전·세종·충청 선호

매출 1000대 기업의 지방 이전 계획
매출 1000대 기업의 지방 이전 계획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 10곳 중 9곳은 지방으로 사업장을 옮기거나 새로 증설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유치 문제와 교통·물류 등 기반 시설 부족이 기업의 지방 이전에 걸림돌이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기업 1000곳 가운데 152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1∼27일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89.4%는 이전 계획이 없었다. 현재 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은 2.0%에 불과했고, 7.9%는 이미 이전을 완료했다고 답했다. 지방의 사업 환경이 해외보다 좋다는 의견은 35.5%에 불과했고, 절반이 넘는 57.9%가 해외와 별 차이가 없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지방 이전을 꺼리는 요인으로는 시간·비용 증가 등 교통·물류 인프라 부족(23.7%), 기존 직원 퇴사 등 인력 확보의 어려움(21.1%), 규제(12.3%), 사업장 부지 확보 애로(12.1%) 등이 꼽혔다.
기업 지방 이전의 장애물
기업 지방 이전의 장애물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때문에 기업들은 지방 이전에 필요한 유인책으로 교통·물류 인프라 지원(22.8%), 세제 혜택 및 설비투자 지원(14.5%), 규제 및 제도 개선(12.9%)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이 지방으로 옮겼거나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시설은 생산 공장(43.8%), 본사(31.3%), 영업소(18.8%), 연구소(6.1%) 순이었다.

응답 기업의 55.3%는 이전하고 싶은 권역으로 대전·세종·충청을 꼽았다. 부산·울산·경남(16.4%), 대구·경북(11.2%)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교통·물류 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좋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60.5%로 가장 많았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교통·물류 인프라와 인력 문제가 지방 이전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업들의 지방 이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어질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