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 이차전지 소재 생산목표 대폭 상향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소재 생산목표 대폭 상향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2-05-25 18:04
수정 2022-05-26 0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30년 글로벌 1위 기업 목표
양극재·음극재·리튬 등 증산

이미지 확대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그룹의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시범 공장 전경. 포스코홀딩스 제공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그룹의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시범 공장 전경.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그룹이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1위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2030년까지 이차전지 소재의 생산 목표를 대폭 상향했다고 25일 밝혔다. 양극재는 연간 40만t에서 61만t으로 52% 증산하고 음극재 32만t, 리튬 30만t, 니켈 22만t 등으로 생산 목표를 올렸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지난 1월 포스코홀딩스 출범에 맞춰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양·음극재와 함께 리튬·니켈·흑연 등 이차전지 핵심 원료의 자체 공급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GM 등 글로벌 완성차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바탕으로 2030년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1위 기업으로 도약할 기반을 다지고 있다는 게 포스코홀딩스의 설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리튬 자체 생산 기술 확보와 더불어 리튬의 안정적 공급과 생산을 위해 호주와 아르헨티나에서 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이와 함께 고용량 배터리 양극재의 필수 소재인 니켈을 확보하기 위한 지분투자를 단행하면서 고순도 니켈 생산도 추진한다.

포스코그룹은 또 음극재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도 지속한다. 지난해 탄자니아의 흑연 광산을 보유한 호주 광산업체 블랙록마이닝 지분 15%를 인수하는 등 음극재 원료인 흑연의 공급처를 탄자니아와 호주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다.



2022-05-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