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손때/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손때/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10-27 23:08
수정 2016-10-28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슨 마음이 동했을까. 몇 해 전 값나가는 그릇을 상자째 사들였다. 크기대로 차곡차곡 쟁여 찬장 맨 위 칸에서도 맨 뒤쪽에 곱게 모셨다. 그러고는 까맣게 잊었다. 우리 집 제일 오지에 들앉아 세월만 묵힌 그릇들이 이제야 눈에 들어온다. 그새 유행이 한물가 버린 것들을 끄집어내서는 웃어볼밖에. 대책 없는 건망증, 허랑한 살림솜씨를 타박하면서도 실은 애당초 알고 있었다. 이 반짝이는 것들이 결코 우리 집 밥상을 점령하지 못하리란 사실을.

유행에 둔한 탓도 있지만 쓰던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한다. 오래된 접시가 닳고 더러는 실금이 갔어도 도무지 거슬리지 않는다. 저장강박증 비슷한 것이 내게도 있나 싶다. 그렇거나 말거나. 어지간히 생활의 땟국이 묻은 것들이 나는 그저 좋고 정답고 편하기만 하다.

이태준의 오래된 글이 생각난다. 집에 웃어른이 없어 거만스러워지는데, 옷깃을 여미게 하는 것이 하나. 자신보다 나이 많은 골동품, 아버지의 연적(硯滴)이라고. 풍상을 견딘 손때는 때로 소란한 눈과 마음을 어루만지는 묘약이다. 내게도 있으면 싶다. 두고만 봐도 이심전심 어깨 쓸어 주는, 나보다 더 나이 먹어 손때가 빛나는 선생이.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10-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