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엄동의 온돌방/손성진 논설주간

[길섶에서] 엄동의 온돌방/손성진 논설주간

손성진 기자
입력 2018-01-11 22:36
수정 2018-01-11 22: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엄동(嚴冬)엔 뜨끈뜨끈한 아랫목이 제격이었다. 연탄의 화력은 기름 먹인 종이를 바른 방바닥을 꺼멓게 태울 만큼 강렬했다. 한겨울 바깥 날씨에 꽁꽁 얼어붙은 몸도 온돌방 이불 속으로 들어가면 금세 녹아내렸다. 밤이 되면 가장 뜨거운 아랫목 안쪽을 차지하려는 꼬마들의 경쟁이 치열했다.

이불 속에는 귀가가 늦은 아버지의 밥그릇이 함께 자리 잡고 있었다. 보온밥솥이 없던 시절, 밥의 온기를 잃지 않도록 하는 데 온돌만 한 게 없었다. 밥때를 맞추지 못한 식구가 여럿일 때는 밥사발 몇 개가 이불 속에서 옹기종기 식구를 기다렸다. 온돌방은 돌침대, 찜질방, 온장고 역할을 동시에 했다.

어쩌다 새벽에 연탄불을 꺼뜨리는 일이 있었다. 그런 날이면 식구들이 오돌오돌 떨었다. 연탄불이 12시간은 가지만 시간을 잘못 맞추면 밤중에 갈아야 하는데 잠이 깊이 들면 놓칠 수도 있다. 식구들이 떨지 않도록 어머니는 새벽잠을 설쳐 가며 연탄불을 갈았다. 보일러로 난방을 하고 각자의 방에서 침대 생활을 하는 요즘에는 온돌방의 따스함과 그 속에서 싹텄던 가족의 사랑을 느낄 수 없다.

손성진 논설주간 sonsj@seoul.co.kr
2018-01-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