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수종사의 아량/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수종사의 아량/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0-19 20:40
수정 2020-10-20 0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의 아름다운 경치에서 두물머리를 뺀다면 한강이 노(怒)할 수 있다. 동쪽 고원에서 따로따로 샘솟은 두 물줄기가 굽이굽이 천릿길을 달려 견우와 직녀처럼 만나 빚어내는 아련한 비경.

강과 맞닿은 경기 남양주시 운길산 중턱에 두물머리의 아름다운 형상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수종사라는 절이 있다. 1458년에 중창(重創)됐다고 하니 역사가 600년은 족히 넘을 이 절이 높은 곳에 자리한 큰 이유는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전망 때문일 것이다.

멀리서 흐르는 강물은 서쪽으로 서쪽으로 무심히 흘러간다. 그 옛날 수종사 스님들도 저 풍경에 반해 힘든 참선을 이겨 냈던 건 아닐까.

놀랍게도 해발 410m에 있는 수종사까지 자동차로 올라갈 수 있다. 자연 훼손이라는 말이 떠오르기 전에 내방객들에게 가파른 산악도로를 개방한 것에서 수종사의 포용심이 느껴진다.

그 덕에 힘에 부쳐 도저히 산을 오를 수 없는 어르신들도 쉽게 수종사로 올라가 두물머리의 아름다움을 젊은이들과 함께 만끽할 수 있다.

누구에게나 절문을 활짝 열어 놓은 수종사는 그래서 더 아름다웠다. 좋은 것을 독차지하지 않고 베푸는 아량. 수종사에서 얻은 작은 깨달음이다.

sonsj@seoul.co.kr
2020-10-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