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사망자 치료병원 직원 양성판정…최종 확진땐 美 두번째 환자 발생
미국 텍사스 건강장로병원의 한 직원이 에볼라 바이러스 예비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텍사스주 보건국이 12일 밝혔다.AP·AFP통신에 따르면 이 직원이 소속된 병원은 미국 내 첫 에볼라 확진 환자로 격리치료를 받다가 지난 8일 사망한 토머스 에릭 덩컨이 입원했던 곳이다. 이날 양성 판정을 받은 직원은 지난 10일 밤 미열을 느낀 뒤 격리조치됐다. 보건국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확진검사를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직원이 최종적으로 확진 판정을 받으면 덩컨과 달리 미국 내에서 에볼라에 전염된 첫 번째 사례이며, 미국 내에서 에볼라 확진 판정을 받은 두 번째 사례가 된다. 이 직원은 에볼라로 격리치료를 받는 덩컨을 돌보는 일을 맡았다.
이런 가운데 유엔 에볼라 대책 조정관인 데이비드 나바로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유엔 총회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는 3~4주마다 2배씩 증가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살면서 봐왔던 그 어떤 바이러스보다 더 극단적이다. 이제 지역적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에볼라의 심각성에 대해 다시 한번 경고음을 울렸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에볼라 대응 노력을 이달 초보다 20배 이상 더 확대해야 한다”며 “서아프리카 국가들을 적극 지원하지 않으면 에볼라를 신속히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8일 현재 에볼라 사망자는 4033명, 감염자는 7개국 8399명이다.
더욱이 유엔의 발표대로라면 에볼라 감염자는 다음달 초 1만 7000명, 같은 달 말 3만 4000명으로 껑충 뛴다. 에볼라 치료제인 ‘지맵’이 동나고 다른 신약 역시 아직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퍼진다면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더 나아가 세계 그 어디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각국의 대응 수위도 높아졌다. 영국은 모의 훈련까지 했다.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들어왔다고 가장한 한 배우가 통증을 호소했을 때 이 환자를 어떻게 검사하고 격리, 이송했는지 8시간에 걸쳐 ‘몰래 카메라’ 방식으로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 미국은 11일(현지시간) 뉴욕 JFK 국제공항에서 서아프리카 3개국에서 입국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체온을 검사했다. 미국 보건기관이 자국에 들어오는 승객의 신체 상태를 확인하는 입국검사를 시행한 것은 처음이다. 또 캐나다는 서아프리카 3개국에 있는 자국민에게 출국을 권고했다. 러시아의 베로니카 스크보르초바 보건장관은 “3종의 에볼라 백신을 개발했고 이 중 한 종은 이미 임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6개월 안에 사용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10-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