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실적 저하 우려 입구 보안 검색 꺼려
WSJ “도난 방지 초점… 소총 판매 최고”범행 예고 게시판 된 ‘에이트챈’ 폐쇄 요구
자유롭게 글을 올리는 온라인 게시판에 대형 범죄를 예고하는 글을 올린 뒤 유동 인구가 많은 월마트로 가서 이를 실행에 옮긴다. 최근 미국에서 일어난 연이은 총기난사 범죄를 보면 온·오프라인상의 이 같은 도식화가 가능하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최근 총기난사 범죄의 표적이 된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가 부실한 안전 문제로 도마에 올랐다. 월마트는 지역의 인파가 몰리는 장소이고 전국 매장에서 무려 150만명이 근무하는 미 최대 고용주인데도 총격에 대비한 안전관리는 전무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사측은 대형 사고가 이어지는데도 매장 입구에서 보안검색을 하는 방안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쇼핑객의 매장 유입을 방해해 자칫 실적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월마트는 범죄율이 높은 일부 지역 매장에만 경비업체나 비번인 경찰을 고용해 순찰을 하고 있다. 유동 인구가 많고 개방된 장소라서 총격에 취약한데도 안전 대비책은 턱없이 미흡한 실정이다.
WSJ는 “월마트 직원들을 위협하는 대상은 절도범이 아니라 총격범인데 월마트의 보안 정책은 도난 방지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비판했다. 테네시주 월마트 직원은 매장 만입구에 보안요원들이 있지만 “좀도둑을 막기 위해 영수증 검사 할 뿐”이라고 말했다.
WSJ는 또 총격사건이 끊이지 않는데도 월마트가 여전히 소총과 산탄총을 가장 많이 판매하는 총기상이라고 꼬집었다. 사측은 지난해 2월 플로리다주 파크랜드더글러스고교 총기난사로 17명이 숨진 뒤 공격용 대량살상총기 판매만 중단했다. 월마트 대변인은 이날 CNN에 “지금으로서는 월마트 정책에 변함이 없다”며 “2015년 이후 직원들에게 총격범 대응 훈련을 제공해 왔다”고 말했다.
월마트가 현실 공간에서 총격 범죄의 표적이 되고 있다면 온라인상에서는 커뮤니티 게시판 ‘에이트챈’(8chan)이 이 같은 대형 범죄를 잉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 텍사스주 엘패소 월마트의 총격난사 용의자 패트릭 크루시어스가 범행 직전 인종주의를 옹호하는 4장 분량의 성명서를 에이트챈에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에이트챈에 범행을 예고하고 총격 사고를 저지른 사례는 벌써 세 번째다. 논란이 커지자 2013년 이 사이트를 개설했던 소프트웨어 개발자 프레드릭 브레넌은 NYT에 “이제 사이트를 닫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9-08-0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