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81% “과거 총리들이 한국·중국에 충분히 사죄했다”

일본인 81% “과거 총리들이 한국·중국에 충분히 사죄했다”

입력 2015-02-25 08:41
수정 2015-02-25 08: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일전쟁·태평양 전쟁’안다’ 49%, ‘모른다’ 49%

일본인 10명 가운데 8명은 자국 정부가 침략과 식민지배를 충분히 사과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이 최근 일본 유권자를 상대로 벌인 ‘전후(戰後) 70년 관련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81%는 역대 일본 총리가 한국이나 중국에 대해 역사적 사실에 관해 사죄를 반복한 것이 충분하다고 반응했다.

충분하지 않다는 답변은 15%였다.

중일전쟁이나 태평양전쟁 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안다는 반응과 잘 모른다는 반응이 44%로 같았고, 잘 안다는 답변과 전혀 모른다는 응답도 5%씩이었다.

일본이 패전 후 올해까지 70년간 평화 국가의 길을 걸어왔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81%였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한 이들은 5%에 그쳤다.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에 관해서는 한국과 중국이 반발하는 것과 관련해 국가가 전몰자를 위령·추도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고르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38%는 야스쿠니신사를 꼽았다.

합사된 A급 전범을 분사하고 야스쿠니신사에서 참배하자는 견해는 24%, 종교적 색채가 없는 국립 묘원을 새로 만들자는 의견은 17%였다.

이밖에 무명 전사자의 유골이 안장된 지도리가후치(千鳥ケ淵) 묘원을 확대 정비해 참배하자는 답변이 15%를 차지했다.

전후 70년을 맞은 일본에 미국은 어떤 인상이 강한 국가인지를 묻자(복수선택) 74%가 일본의 생활·문화에 큰 영향을 준 나라라고 답했다.

49%는 미국을 일본이 전쟁한 상대국이라는 것에 주목했고, 36%는 가장 중요한 우호국이라고, 33%는 일본의 부흥을 도와준 국가라고 반응했다.

응답자는 미·일 안전보장조약에 관해 일본의 평화와 안전에 도움이 됐다(62%)면서도 주일 미군기지 등 무거운 부담을 지운 원인(43%)이라고 평가(복수선택)했다.

조사에 응한 이들이 전후 70년간 가장 상징적이 사건으로 꼽은 것(복수 선택)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73%)이고 다음으로는 1995년 한신·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66%, 일명 고베 대지진)이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도쿄 지하철 사린가스 테러, 도쿄올림픽이 5위 안에 들었고 일본의 전쟁 범죄인을 단죄한 도쿄재판(극동군사재판)을 꼽은 응답자는 10%에 그쳤다.

전후 가장 높은 업적을 쌓은 총리로는 중일 공동선언으로 중국과 수교한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 1918∼1993)가 꼽혔다.

2위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였으며 현직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5위였다.

조사는 지난달 14일 3천 명에게 질문지를 발송해 이뤄졌으며 1천975명이 이달 16일까지 유효한 응답을 보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