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주주 국내 비중 73.9% “중국자본에 케이팝 넘겨” 반박

카카오 주주 국내 비중 73.9% “중국자본에 케이팝 넘겨” 반박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2-25 13:51
수정 2023-02-25 1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각 사 로고
각 사 로고
카카오가 지난 24일 느닷없이 주주 구성 내용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카카오의 SM 지분 투자를 둘러싸고 논란이 확산되는 것, 그 중에서도 특히 “카카오에게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넘기면 중국자본에 케이팝을 넘기는 것”이란 일부의 지적을 의식한 대응으로 풀이됐다.

카카오에 따르면 지난 연말 기준 5% 이상 주주는 △ 김범수 창업자와 케이큐브홀딩스 및 특수관계인(24.14%) △국민연금공단(6.05%) △막시모(MAXIMO) PTE(5.93%)였다. 막시모가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의 자회사로 2012년 카카오에 720억원을 투자하며 당시 지분 13.3%를 취득했다. 나중에 다음커뮤니케이션 합병 및 추가 투자유치 과정에 막시모 지분율은 점차 줄었으나 ‘중국 자본’ 꼬리표는 여전히 카카오를 따라다닌다.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가 각각 텐센트와 앤트그룹 자회사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점도 이런 잘못된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실제 카카오의 국내 투자자 비중은 73.9%로 압도적이다. 외국인 보유 비중도 26.11%로 국내 기관(6.97%)과 개인·기타법인(40.82%)를 합산한 비중의 절반 수준이다. 국적 별로는 싱가포르가 7.3%, 북미가 7.2%, 기타 외국인이 11.6%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하이브와 SM 쟁탈전을 벌이는 카카오가 중국 자본이 아닌 ‘국민주’인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주주 구성을 공개했다고 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