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신입, 회식 당일에 ‘불참’ 통보…변명도 없네요”

“MZ 신입, 회식 당일에 ‘불참’ 통보…변명도 없네요”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3-10 10:09
수정 2023-03-10 18: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회식 자료사진(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아이클릭아트 제공
회식 자료사진(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아이클릭아트 제공
회식 당일 불참하는 신입사원의 태도에 불만을 드러낸 한 직장인의 글이 올라와 온라인상에서 ‘회식 논쟁’이 벌어졌다.

10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요즘 신입사원은 회식이 자율인 줄 아나 봄’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공기업 소속 직원인 글쓴이 A씨는 “다같이 회식 날짜 잡았는데 당일에 안 가겠다고 통보. 이러쿵저러쿵 변명도 없다. 이게 맞나”라고 물었다.

해당 글을 접한 네티즌은 “2주 전 잡은 회식이고, 갑자기 가기 싫어서 당일 취소하면 솔직히 누가 좋게 보겠나”라며 “회식 자체가 싫으면 2주 전에 안 간다고 말을 했어야 하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또 다른 네티즌은 “팀원 중 막내가 일 잘하고 말수 적고 허드렛일 마다하지 않는다. 그런데 2주 전 잡은 회식을 그냥 참석하기 싫다는 이유로 그날 취소했다. 그 뒤로 회식 안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얼마나 회식이 싫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절대 회식이 없다. 우린 회식보다 직원 회사 잘 다니게 하는 게 더 좋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회식 자료사진(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아이클릭아트 제공
회식 자료사진(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아이클릭아트 제공
앞서 팀 회식에서 신입사원들이 고기는 굽지 않고 먹기만 했다는 사연이 논란이 된 바 있다. 일부는 신입사원들의 ‘매너 없음’을 비판했고, 일부는 회식 자체가 ‘꼰대 문화’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오비맥주 한맥이 진행한 2050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회식 관련 직장인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수직적이고 강압적인 회식 문화가 없다면 회식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직장인들은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의 ‘부드러운 회식’을 위해 꼭 필요한 조건으로 ‘참여를 강요하지 않는 것(61.4%)’을 1순위로 꼽았다.

바람직한 회식 문화로는 ‘메뉴, 귀가시간, 잔 채우기 등 개인의 의사를 존중하는 민주주의형 회식(47.9%)’을 선택했다.

또 가장 싫어하는 회식은 ‘불편한 사람과 함께하는 회식(50.7%)’을 꼽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