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호 유작 ‘마지막 잎새’ 등 1000곡 작사 정귀문 별세

배호 유작 ‘마지막 잎새’ 등 1000곡 작사 정귀문 별세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0-08-02 22:24
수정 2020-08-03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향 경주 ‘현곡면’서 평생 작품 활동
조미미 ‘바다가 육지라면’도 대표작

이미지 확대
정귀문 작사가
정귀문 작사가
가수 배호의 유작 ‘마지막 잎새’, 조미미의 ‘바다가 육지라면’ 등 대중가요 1000여곡의 가사를 쓴 원로 작사가 정귀문씨가 암 투병끝에 지난 1일 별세했다. 78세.

1942년 경북 경주시 현곡면에서 태어난 고인은 1967년 세광출판사의 신인 작품 공모에 ‘만추’가 당선돼 작사가로 데뷔했다.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노랫말로 수많은 명곡을 만들어 ‘향토가요 작사가’로 불린다. 이미자 ‘꽃씨’, 김연자 ‘먼훗날’, 봉은주 ‘동네방네 뜬소문’, 최안순 ‘안개 낀 터미날’ 등이 대표작이다.

고인은 평생 고향인 현곡면에서 작품활동을 했다. 이 때문에 경주에는 ‘마지막 잎새’와 ‘바다가 육지라면’, 두 개의 노래비가 건립됐다. 가요사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1998년 제12회 한국가요 창작인 공로대상, 1999년 제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을 받았다. 고인은 70대에 들어서도 꾸준히 작사 활동을 했고, 포항MBC 개국부터 49년간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최근까지 포항MBC 라디오 프로그램 ‘즐거운 오후 2시’ 코너인 ‘싱송생송 떴다 노래방’ 심사위원을 맡았다.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고인은 고향의 정취, 향수 등을 담아 국민의 심금을 울린 서정적인 작품들을 남겼다”며 “배호의 유작 ‘마지막 잎새’의 가사 때문에 배호를 일찍 떠나보낸 것 같아 늘 마음이 아팠다고 말할 정도로 순수하고 열성적인 음악인이었다”고 전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임문조씨, 아들 인걸과 미원·미정 두 딸이 있다. 빈소는 경주전문장례식장, 발인은 3일 오전이며, 장지는 하늘마루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0-08-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