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화가’ 방혜자가 프랑스 아죽스에 만든 아틀리에(왼쪽)는 “자연의 빛과 색을 최대한 선명하게 볼 수 있게 설계”한 곳이다. 그는 이곳에서 “날마나 만나는 햇빛, 달빛, 별빛을 자양분 삼아” 거침없이 작품을 완성한다. 명징한 색채로 동화적 분위기를 만드는 노은님의 독일 미헬슈타트 작업실은 숲 속에 있다. 그 안에 놓인 노은님에게서 삶의 고민, 자신과 색채와의 싸움을 극복한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고요와 평화, 자유를 본다.
폐침목과 폐아스콘을 소재로 작품을 만드는 조각가 정현의 작업실(오른쪽)에는 ‘험악한’ 공구가 즐비하고, 작은 초상을 무한반복해 다른 초상을 만드는 김동유의 공간에는 세밀한 붓과 주사기가 수천개다. 화가의 아틀리에인가 싶다. ‘자연이 아틀리에’인 사진작가 배병우의 작업실에선 여러 켤레의 운동화가 유독 눈길을 끈다.
‘아틀리에, 풍경’에는 우리나라 미술계를 대표하는 예술가 14명의 내밀한 작업실이 담겨 있다. 저자(함혜리 서울신문 선임기자)는 “작가들이 무엇을 위해 땀과 열정을 쏟아붓는지, 무엇이 예술의 길로 이끌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그 먼 작업실들의 문을 두드렸다. 주말과 휴가를 반납하며 2년여 공들여 낸 책이다. 지난해 2월 별세한 뒤 다시는 볼 수 없어진 이두식 화백의 공간, 이탈리아 피에트라산타에 있는 박은선의 작업실도 담았다. 갈피갈피에 작품세계와 함께 작가들과의 각별한 인연을 풀어낸 책은 저자의 말 그대로 “한 명 한 명이 소우주인 예술가들에게서 받은 묵직한 감동”을 전한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5-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