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평생 나무처럼 살았다.” 국립수목원장을 지낸 저자가 책의 첫머리에 밝힌 글이다. 30년 넘게 나무 곁을 지키며 살아왔으니 그리 말해도 틀리지는 않겠다. 새 책 ‘다시, 나무를 보다’는 저자가 절반의 생애에 걸쳐 나무를 보며 벼려낸 성찰의 결과물이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책은 3부로 나뉜다. ‘1부 나무의 인생학’에서는 인생을 살아갈 방도를 모색하고 있다. 새의 날갯짓이나 가벼운 바람에도 흔들리는 나무가 산불이라는 위험요소를 생존 전략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거울 삼았다. ‘2부 나무의 사회학’에서는 나무가 다른 존재들과 맺고 있는 촘촘한 관계망을 통해 사람이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존중과 겸손을 조명한다. 숲에도 이웃을 배려하지 않고 홀로 웃자라는 나무가 있다고 한다. 특히 크고 힘센 나무일수록 이웃나무를 가로막는 경향이 강한데, 전문가들은 이를 폭목(暴木)으로 분류해 제거 대상 1호로 삼는다고 한다. 이른바 ‘땅콩 회항’으로 들썩이는 우리 사회가 곱씹어볼 만한 대목이다. ‘3부 나무의 생명학’은 시각, 청각, 촉각 등 인간의 신체감각과 산림치유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폈다.
숲에는 다양성이 공존한다. 큰 것 작은 것, 센 것 약한 것, 가는 것 굵은 것이 어우러져 있다. 저마다 필요에 의해 갖게 된 형태이긴 하나, 그래야 서로가 오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나무들은 진작 알고 있었던 거다. 그게 책이 전하는 나무의 철학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12-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