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발자취 돌아본다...‘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현대시의 발자취 돌아본다...‘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2-04-06 15:05
수정 2022-04-06 1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억 ‘해파리의 노래’ 출간 100주년 앞두고
열린책들 김소월,윤동주 등 시집 20권 세트

이미지 확대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열린책들 제공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열린책들 제공
“빈 들을 휩쓸어 돌며, 때도 아닌 낙엽을 재촉하는/ 부는 바람에 쫓기어, 내 청춘은 내 희망을 버리고 갔어라.”

김억(1896~?) 시인이 1923년 출간한 한국 최초의 창작 시집 ‘해파리의 노래’에 실린 시 ‘피리’의 한 구절이다. 열린책들은 ‘해파리의 노래’ 출간 100주년을 1년 앞두고 최근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세트를 펴냈다. ‘해파리의 노래’부터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까지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는 시집 20권을 한데 모았다. 특히 자연을 예찬하는 시 75편을 수록한 ‘해파리의 노래’는 한국 시가 개화기 때의 정형화된 창가와 신체시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하는 기념비적 시집이다.
이미지 확대
시인 김억. 서울신문 DB
시인 김억.
서울신문 DB
이번 세트는 ‘해파리의 노래’ 이외에 상실과 그리움을 이야기해 서정시의 원형으로 평가받는 김소월의 ‘진달래꽃’(1925)이나 사랑의 형이상학을 고찰한 한용운의 ‘님의 침묵’(1926), 미적 감수성이 드러나는 김영랑의 ‘영랑 시집’(1934)도 포함했다. 이 밖에 백석의 ‘사슴’(1935), 김상용 ‘망향’(1938), 박목월·조지훈·박두진의 ‘청록집’(1946) 등 한국 현대시의 뿌리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시집과 함께 이념 문제로 국내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김창술 등의 ‘카프 시인집’(1931)도 아울렀다.

20세기 초는 시대적 고통과 개인의 천재성이 발현돼 탁월한 시집이 많이 나온 시기로 꼽힌다. 하지만 한글 표기법의 변화나 출간 당시의 오식 등으로 읽기 어려운 점도 있다. 이남호 고려대 명예교수가 책임 편집을 맡아 초간본 배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표기를 오늘날에 맞춰 바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