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 내 대구경북과학기술원(디지스트.DGIST) 총장 취임식에 참석해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비판한 지 나흘 만이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오후 대구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리는 ‘대구 R&D(연구개발) 특구 출범식’과 달성군 내에서 예정돼 있는 ‘ITS기반 지능형자동차부품 시험장’ 기공식에 잇따라 참석한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 측은 “대구시는 물론 경상북도 그리고 지식경제부 등이 모두 관여된,오래 전부터 잡혀있던 일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도 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박 전 대표는 과학기술 개발에 누구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있어 관련 행사에 참석하는 것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다만 박 전 대표가 대구 지역행사 두 개를 잇따라 참석하는 것이 특별한 일은 아님에도 불구하고,최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인해 대구.경북(TK)의 민심이 악화하는 시점에서 이뤄지는 방문이라는 점에서 ‘TK 민심 달래기’의 의미가 있다는 해석도 나올 전망이다.
대구 지역의 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지역균형발전을 중요시하는 박 전 대표는 지방의 프로젝트에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쏟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른 대구 지역 의원도 “박 전 대표가 앞으로 신공항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한 만큼 희망의 불씨를 살려나가자는 분위기도 적지 않다.전반적으로는 박 전 대표에 대해 민심이 호의적”이라며 “지역 민심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박 전 대표가 대구.경북을 찾아 이 지역의 발전에 관심을 보인다면 민심을 달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박 전 대표는 자신의 신공항 발언에 대해 당내 친이(친이명박)계와 경쟁 주자들로부터 “텃밭인 영남 지역에 기대려는 의도”라는 비판도 제기된 만큼,이날 이후 당분간은 대구 방문 계획을 잡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