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시 않겠다”..‘조직적 대응’ 강경론도
한나라당의 7ㆍ4 전당대회를 앞두고 구주류인 친이(친이명박)계의 세 결집 움직임에 대해 대척점에 서있는 당 쇄신파인 ‘소장파+친박(친박근혜)’ 연대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아직 쇄신파 내부에서 친이계 결집에 대한 조직적 반격 조짐이 포착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냥 이대로 좌시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어 주목된다.
이처럼 친이계가 ‘당권 수복’을 위해 뭉치고, 이에 맞서 쇄신파들이 반격에 나설 경우 지난달 6일 원내대표 선거의 ‘재판(再版)’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친박계 구상찬 의원은 2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전대는 잘못된 지도부를 바꾸자는 것”이라며 “그런데 구주류가 다시 뭉친다면 이는 옛날로 회귀하자는 것밖에 안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전대만큼은 정책대결로 갔어야 했다”면서 “그런데 전대 원인을 제공한 원인제공자들이 다시 뭉친다는 것은 구태정치”라고 했다.
‘민본21’ 공동간사인 김세연 의원은 “전대판이 매우 혼탁하게 가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쇄신파들이 결속해 나설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쇄신파는 28일 당권주자 초청 토론회를 열어 추가감세 철회, 대ㆍ중소기업 상생방안, 친서민 대책 등에 대한 주자별 입장을 들을 예정이다. 특히 이 자리에서 계파 대결과 계파 줄세우기 등을 강하게 비판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한나라’의 핵심 의원은 “친이계의 결집에 대해 쇄신파 내에서도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질 것”이라며 “내일 토론회가 이를 촉발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이 ‘반(反) 친이’ 전선을 형성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거나 특정 후보를 선정, 조직적 지원에 나서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쇄신파가 조직적 대응에 나설 경우 친이계의 결집을 더욱 공고화시키고, 전대판이 ‘구주류 대 신주류’ 구도로 전환되면서 계파별 표 결집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현실적 고민이 내재돼 있다.
쇄신파의 한 의원은 “쇄신파들이 이미 특정 후보를 지지하지 않기로 선언, 조직적으로 뭉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 “더욱이 구주류 대 신주류라는 구도는 친이계가 원하는 구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지난 원내대표 선거와는 다르게 이번 전대에서는 친박계 대표주자로 유승민 후보가 출마한 데다 쇄신파 내부에서 친소 관계나 성향에 따라 지지 후보들이 갈리고 있는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실제로 쇄신파 내부에서는 남경필 홍준표 나경원 유승민(선수+가나다 순) 후보를 놓고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