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내 국회 세종청사회의장에서 열린 국무조정실과 국무총리비서실에 대한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
연합뉴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박병석 의원은 사전 배포한 질의자료에서 “올 초부터 각종 대형 재난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는데도 정부는 ‘총체적 국가재난 관리체계 강화’를 녹색등으로 켰다가 세월호 참사 후에야 빨간등으로 바꾸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신호등 시스템은 국무조정실이 국정과제 이행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운영하는 것으로 과제 수행도에 따라 녹색(정상 추진), 황색(문제 발생으로 대책마련 시급), 적색(과제완수 곤란)으로 나타난다.
박 의원은 “박근혜 정부가 신호등 방식을 도입하면서 격월 단위 점등·공개를 원칙으로 하되 대형 사건·사고 발생 및 성과달성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수시로 점등색깔을 변경하겠다고 했지만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김종훈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물어 해양경찰청의 해체를 결정한 것과 관련, “정부는 최근 6년 연속 해양경찰청을 정부업무평가 우수기관으로 선정하여 총 4억 300만원의 포상을 실시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국무총리실이 정부업무평가 작업을 주관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세월호 참사를 통해 무능이 드러난 해양경찰청이 매년 정부업무평가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정부업무평가 제도 및 운영에 허점이 있음을 드러낸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 김태환 의원은 “세월호 사고 이후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39개 부·처·청이 자체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주요시설물 24만여 개소에서 총 4만4천여건의 안전관련 지적사항이 적발됐다”며 “세월호 사고 이후에도 안전 불감증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점검을 했던 곳에서 계속 지적사항이 나오는 것은 안전점검이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며 “의식의 개선과 함께 철저한 점검과 개선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국무조정실 산하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에 대해 부실조사 우려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새정치연합 민병두 의원은 “4대강 사업의 쟁점사항인 독성 남조류로 인한 녹조현상에 대한 현장조사는 단 3회 실시됐고 특성상 4계절 내내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수질조사는 봄철에 1회성 조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민 의원은 그러면서 “국민의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조사를 약속한 4대강조사평가위원회는 초기 우려와 마찬가지로 수질 측정 등 현장 조사를 등한시하고 환경부 조사의 보조적 역할만 수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