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17일 최근 북한이 조건부 대화 제안을 해온 것에 대해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전제조건이 붙어 아쉽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개성공단상회’ 1호점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홍 장관은 “북한이 한국 정부에 대한 비난을 지속해왔는데 그것에 비해 더 부드러운 톤”이라며 “비난을 삼가면서 대화 제안을 해와 과거에 비해 조금 진일보했고, 반갑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도 “다만 여전히 여러 전제 조건을 붙인 것은 좀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대화를 통해서 풀자’, ‘빨리 대화를 하자’는 것이 정부의 기본적인 입장”이라며 “북한이 빨리 대화에 나와서 교류·협력을 이야기하고 신뢰를 쌓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또 “통일부가 먼저 6·15공동선언을 비롯한 기존 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확인했었다”며 “사실 6·15에 교류·협력,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 이야기가 담겨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앞서 북한은 15일 6·15 남북 공동선언 발표 15주년을 맞아 김정은 체제 들어 두 번째로 정부 성명을 발표하고 “북남 사이에 신뢰하고 화해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당국 간 대화와 협상을 개최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홍 장관은 이날 북한이 남한 주민 2명을 송환한 것에 대해서는 “굉장히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이번 송환을 계기로 아직 억류돼 있는 다른 네 분도 돌려 보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화 제안과 주민 송환이 비슷한 시기에 이뤄진 점을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 그는 “두가지를 너무 연결시켜서 생각할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홍 장관은 발언에 앞서 개성공단상회 매장을 돌아보며 최근 영업 상황 등을 상세히 물었다. 재킷을 입어보고 “가볍고 좋다”는 소감을 밝힌 그는 직접 셔츠와 양말을 구매하기도 했다.
개성공단상회는 제품 제조능력을 갖춘 개성공단 회사들이 모여 만든 ‘편집숍’(한 매장에 여러 브랜드 제품을 모아놓은 것) 형태 매장으로 최근 안국동 직영 1호점이 문을 열었다.
홍 장관은 “개성공단은 남북 협력의 상징인 만큼 협력과 신뢰를 중시하며 모든 문제를 같이 협의하면 발전하고 잘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북한과 협력·신뢰도 중요하고, 그런 정신으로 당면한 문제를 대화로 풀겠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민들이 개성공단 제품이라는 점을 알고 입는 것이 통일을 피부로 체감하는 ‘통일 체험장’으로서 의미가 깊다”며 “더 많이 생겨서 사람들이 통일과 남북 교류·협력, 신뢰의 중요성을 직접 느끼길 바란다”고 기대를 피력했다.
연합뉴스
홍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개성공단상회’ 1호점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홍 장관은 “북한이 한국 정부에 대한 비난을 지속해왔는데 그것에 비해 더 부드러운 톤”이라며 “비난을 삼가면서 대화 제안을 해와 과거에 비해 조금 진일보했고, 반갑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도 “다만 여전히 여러 전제 조건을 붙인 것은 좀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대화를 통해서 풀자’, ‘빨리 대화를 하자’는 것이 정부의 기본적인 입장”이라며 “북한이 빨리 대화에 나와서 교류·협력을 이야기하고 신뢰를 쌓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또 “통일부가 먼저 6·15공동선언을 비롯한 기존 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확인했었다”며 “사실 6·15에 교류·협력,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 이야기가 담겨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앞서 북한은 15일 6·15 남북 공동선언 발표 15주년을 맞아 김정은 체제 들어 두 번째로 정부 성명을 발표하고 “북남 사이에 신뢰하고 화해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당국 간 대화와 협상을 개최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홍 장관은 이날 북한이 남한 주민 2명을 송환한 것에 대해서는 “굉장히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이번 송환을 계기로 아직 억류돼 있는 다른 네 분도 돌려 보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화 제안과 주민 송환이 비슷한 시기에 이뤄진 점을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 그는 “두가지를 너무 연결시켜서 생각할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홍 장관은 발언에 앞서 개성공단상회 매장을 돌아보며 최근 영업 상황 등을 상세히 물었다. 재킷을 입어보고 “가볍고 좋다”는 소감을 밝힌 그는 직접 셔츠와 양말을 구매하기도 했다.
개성공단상회는 제품 제조능력을 갖춘 개성공단 회사들이 모여 만든 ‘편집숍’(한 매장에 여러 브랜드 제품을 모아놓은 것) 형태 매장으로 최근 안국동 직영 1호점이 문을 열었다.
홍 장관은 “개성공단은 남북 협력의 상징인 만큼 협력과 신뢰를 중시하며 모든 문제를 같이 협의하면 발전하고 잘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북한과 협력·신뢰도 중요하고, 그런 정신으로 당면한 문제를 대화로 풀겠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민들이 개성공단 제품이라는 점을 알고 입는 것이 통일을 피부로 체감하는 ‘통일 체험장’으로서 의미가 깊다”며 “더 많이 생겨서 사람들이 통일과 남북 교류·협력, 신뢰의 중요성을 직접 느끼길 바란다”고 기대를 피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