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직후 ‘확전 자제’ 언급을 하지 않았고, 실제로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공격을 하라”고 지시했었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이 전 수석은 13일 발간한 자신의 회고록 ‘도전의 날들-성공한 대통령 만들기(2007~2013)’에서 이 전 대통령이 당시 이렇게 강력한 대응을 지시했음에도 청와대 지하벙커 회의에 참석한 군 관계자들이 ‘동종·동량의 무기로 반격해야 한다’는 유엔사령부 교전 수칙을 앞세우는 바람에 도발 원점인 북한 황해도의 해안포 진지를 타격하지 못했다고 했다. 특히 “연평도 상공까지 출격했던 F15 전폭기 두 대를 활용하여 공격을 가하라는 이 대통령의 지시에 대해서도 군 관계자들이 ‘미군과 협의할 사안’이라며 행동에 나서는 걸 주저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이명박 전 대통령 ‘복원 10년’ 청계천 나들이 이명박(맨 앞)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이명박 정부 당시 장관 등을 지낸 측근 20여명과 함께 올해로 복원 10년을 맞은 청계천을 둘러보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청계광장을 출발, 고산자교까지 약 5.8㎞ 구간을 걸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명박 전 대통령 ‘복원 10년’ 청계천 나들이
이명박(맨 앞)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이명박 정부 당시 장관 등을 지낸 측근 20여명과 함께 올해로 복원 10년을 맞은 청계천을 둘러보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청계광장을 출발, 고산자교까지 약 5.8㎞ 구간을 걸었다. 연합뉴스
이 전 수석은 2008년 한·미 정상회담 당시 이 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비화를 소개하며 양국 동맹의 ‘복원’ 과정도 회고했다. 그는 “(당시) 부시 전 대통령이 ‘이제부터 한국에 정보를 주겠습니다’라고 말했다”면서 “실제 노무현 정권 당시 미국은 우리에게 준 정보가 얼마 후 북한으로 흘러들어 간다고 의심했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핵심 정보를 한국에 주지 않았다. 부시 대통령의 한마디는 한·미 동맹의 복원을 의미하는 분명한 신호였다”고 했다. 현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총장으로, 내년 4월 총선에서 서울 서초을에 출마할 예정인 이 전 수석은 오는 15일 이런 내용이 담긴 자신의 회고록 출판기념회를 가질 예정이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12-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