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원장에 박선영
尹 탄핵소추안 7일 표결
여당서도 탄핵 찬성 기류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TV 캡처
12·3 계엄사태 후폭풍으로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6일, 윤 대통령이 장관급 인사를 임명하며 권력 의지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장관급인 진실화해위원장에 박선영 전 의원의 임명안을 재가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박 신임 위원장은 제18대 국회에서 자유선진당 비례대표 의원으로 활동했다. 국회 독도영토수호대책특위와 남북관계발전특위 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는 자신이 설립한 탈북아동·청소년 대안학교인 물망초학교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며, 2018년과 2022년 서울특별시 교육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야권은 물론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도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여론이 불거지고 지지율마저 10%대로 곤두박질친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인사권 행사를 감행한 것이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하루 뒤인 7일 오후 표결에 부쳐진다. 탄핵안 가결을 위해서는 재적의원 총 300명 가운데 3분의 2인 200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범야권 의원은 192명이라 탄핵안이 가결되려면 여당에서 최소 8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한다.
국민의힘은 지난 4일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하며 윤 대통령을 옹호하는 듯했다가 탄핵 찬성 기류로 급격히 기울고 있다. 이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윤 대통령의 직무 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으며, 여당 의원 중 처음으로 6선 중진인 조경태 의원이 탄핵 찬성 입장을 표명했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이 이날 국회 정보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직후 “싹 다 잡아들여 정리하라”고 지시했다고 발언하면서 윤 대통령에 대한 여론은 더욱 싸늘해졌다. 그는 계엄 체포 대상 명단으로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등을 포함한 주요 정치인들을 언급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자단에 “대통령은 그 누구에게도 국회의원을 체포, 구금하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고 공지했으나, 곧 해당 공지를 취소하며 논란을 증폭시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