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산29억 전액 삭감 탓… 7곳중 1곳 폐쇄
“예산 부족으로 1월 1일부터 문 닫습니다.” 인천 부평1동 중부복지관 내에 있는 ‘청소년공부방’을 새해에는 볼 수 없게 됐다.하루 평균 30~40명의 중·고생들이 학교 수업을 마친 뒤 공부하던 곳이다. 가정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학원에 갈 여유가 없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달 국회에서 새해 예산안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청소년공부방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더는 운영하기가 불가능해졌다.

공부방 담당자는 “갑자기 국비지원이 끊겨 공부방을 폐쇄하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전국의 청소년공부방 7곳 중 1곳이 새해에는 문을 닫는다. 여성가족부의 관련 예산 28억 9900만원이 국회에서 모두 삭감됐기 때문이다. 폐쇄되는 청소년공부방은 모두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방에 위치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한다. 방과후 교육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청소년공부방이 절실한 지역이다.
서울신문이 29일 전국 16개 시·도를 조사한 결과 올해 국비가 지원된 청소년공부방 368곳 가운데 56곳이 내년 1월부터 문을 닫는다. 37곳은 폐쇄되고, 19곳은 지역아동센터·청소년수련원 등으로 전환된다. 또 18곳은 내년 한 해에만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광주·대구·제주·경기 등은 내년 계획을 세우지 못해 폐쇄되는 공부방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전국 15개 지자체는 청소년공부방 운영비 가운데 40~64%를 국비로 충당하고 있다. 서울은 전액 시비와 구비로 운영된다.
특히 폐쇄되는 공부방이 많은 경북(15곳)·부산(7곳)·인천(7곳)·경남(5곳)·전북(3곳)·전남(2곳) 등은 예산 대비 지방세 수입이 40% 미만으로 재정자립도가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광주시 청소년공부방 담당자는 “청소년공부방은 저소득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곳이 대부분”이라며 국회의 무관심을 지적했다. 정대화 상명대 교양학과 교수는 “지방재정자립도 자체가 근본적 원인이기는 하나 사회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이 심해질 수 있다.”면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양진·최두희기자 ky0295@seoul.co.kr
2010-12-3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