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 임대차 계약은 전혀 특혜가 아닙니다. 부지 임대료를 1년에 30억원씩 더 부담해야 했다면 애초에 학교를 설립하지 않았겠지요.”
김승유(73) 전 하나금융 회장이 오랜만에 공식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냈다. 특혜 의혹에 시달려 온 서울 하나고등학교 이사장 자격이다.
서울시의회는 26일 하나고 특혜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위원장 이정훈) 증인신문에 하나고 이사장 자격으로 출석한 김 전 회장에게 특혜 의혹과 관련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하나고는 건물도 지어지지 않았던 2008년 12월 31일 서울의 첫 자립형사립고로 지정된 데 이어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의 취임 하루 전인 2010년 6월 30일 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됐다.
2009년 서울시의 땅을 빌려 학교를 지은 과정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의혹이 제기돼 왔다. 하나고는 당시 공보에 게재됐던 임차기간 20년에 5.0%의 요율이 아니라 임차기간 50년, 0.5% 요율의 파격적인 계약을 서울시와 맺었다. 김 이사장이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고려대 경영학과 동기·동창이란 점은 특혜 의혹을 한층 더 부채질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김승유(73) 전 하나금융 회장이 오랜만에 공식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냈다. 특혜 의혹에 시달려 온 서울 하나고등학교 이사장 자격이다.
서울시의회는 26일 하나고 특혜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위원장 이정훈) 증인신문에 하나고 이사장 자격으로 출석한 김 전 회장에게 특혜 의혹과 관련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하나고는 건물도 지어지지 않았던 2008년 12월 31일 서울의 첫 자립형사립고로 지정된 데 이어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의 취임 하루 전인 2010년 6월 30일 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됐다.
2009년 서울시의 땅을 빌려 학교를 지은 과정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의혹이 제기돼 왔다. 하나고는 당시 공보에 게재됐던 임차기간 20년에 5.0%의 요율이 아니라 임차기간 50년, 0.5% 요율의 파격적인 계약을 서울시와 맺었다. 김 이사장이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고려대 경영학과 동기·동창이란 점은 특혜 의혹을 한층 더 부채질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8-2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