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월급, 정규직의 43%…사회보험 가입률도 절반 불과

비정규직 월급, 정규직의 43%…사회보험 가입률도 절반 불과

입력 2016-04-26 14:04
수정 2016-04-26 1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용부 “정규-비정규직 격차, 조금씩 해소 추세”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과 사회보험 가입률이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5년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월 임금총액은 274만원이었다.

정규직의 월 임금총액은 319만 4천원이었지만, 비정규직은 137만 2천원으로 정규직의 43%에 불과했다.

비정규직 형태별로 보면 파견근로자의 월 임금총액은 183만 5천원, 용역근로자는 153만 8천원, 일일근로자는 129만 7천원이었다.

시간당 임금총액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가 덜 심했다.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총액은 1만 1천452원으로, 정규직(1만 7천480원)의 65.5%였다. 이는 정규직의 월 총근로시간이 187.4시간으로 비정규직(131.6시간)보다 훨씬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회보험, 상여금, 퇴직연금, 노조 가입률 등 전반적인 복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모든 지표에서도 비정규직 차별은 심각했다.

정규직의 건강보험 가입률은 97.9%에 달했지만, 비정규직은 55.5%에 불과했다. 국민연금 가입률도 정규직이 97.8%, 비정규직이 52.7%로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고용보험의 정규직 가입률은 95.4%, 비정규직은 66.7%였다.

상여금을 받는 근로자도 정규직은 67.5%에 달했지만, 비정규직은 22.5%에 그쳤다.

퇴직연금 가입률은 정규직이 54.6%였지만 비정규직은 19.9%에 불과했다. 노동조합 가입률은 정규직이 12.2%에 달한 반면 비정규직은 1.5%에 그쳤다.

고용부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이 조금씩 올라가는 추세지만 아직은 정규직에 비해 취약한 편”이라며 “성, 연령, 학력, 근속연수 등을 감안할 때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는 3만 2천879개 표본사업체 소속 근로자 85만여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통계표는 5월 초 이후 고용노동통계 홈페이지(laborstat.moel.go.kr)에서 볼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