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녀 57%만 부모 부양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부양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부양특성과 정책과제(김유경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부양의 책임자’가 가족이라는 인식은 지난 1998년 조사대상의 89.9%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2014년에는 31.7%로 크게 줄었다.
반면 사회 혹은 기타(스승, 선후배 등)가 부양의 책임이 있다는 생각이 1998년 2.0%에서 2014년에는 51.7%로 절반을 넘었다.
가족 중에서 누가 부모부양을 책임져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많이 달라졌다.
장남에게 부양의 책임이 있다는 인식은 1998년 22.4%였지만 2014년에는 2.0%로 극히 낮아졌다. ‘아들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 역시 7.0%에서 1.1%로 줄었다.
대신 ‘자녀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인식은 15.0%에서 24.1%로 올라갔다.
보고서는 이같이 부양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게 된 원인으로 1인가구 증가와 가족 해체의 심화를 꼽았다.
1인가구의 비중은 2000년 15.5%에서 2010년 23.9%로 늘었다. 반면 3세대 이상 거주하는 확대가족은 12.5%에서 6.2%로 감소했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의 비중은 75.0%에서 66.6%로 감소한 대신 사별·이혼 가구는 각각 14.8%에서 19.0%로 늘어났다.
자녀와 부모가 동거하는 비중은 1998년 49.2%에서 2014년 28.4%로 줄었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친밀도도 과거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 부모와 전화통화하는 사람의 비중은 휴대전화 등의 보급으로 1988년 74.5%였던 것이 2004년 79.5%, 2008년 79.1%, 2011년 83.6% 등으로 높아졌지만 2014년 조사에서는 72.9%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부양관은 효를 기반으로 하는 가족부양에 집중됐지만, 가족주의 약화와 소가족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가족부양이 감소하고 국가·사회에 의한 공적 부양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적 부양은 국가가 책임을 지고, 정서적 부양은 가족이 담당하도록 공적 부양시스템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와 함께 고령층의 고용을 개선하고 사회보장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노후준비지원 프로그램을 내실화해 노부모의 경제 상황을 도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