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아닌 여자와 밥도 먹지 않는다”…‘펜스룰’ 관심

“아내 아닌 여자와 밥도 먹지 않는다”…‘펜스룰’ 관심

입력 2018-03-13 14:48
수정 2018-03-13 1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투(Me too)’운동이 사회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남성들 사이에서 이른바 ‘펜스룰’이 미투 운동의 대항 격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 AFP 연합뉴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
AFP 연합뉴스
‘펜스룰(Pence Rule)’은 미투 운동과는 상관없이 2002년 마이크 펜스 현 미국 부통령이 인터뷰에서 ”아내 이외의 여자와는 절대로 단둘이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에서 유래됐다.

당시 미국에서 “펜스는 여성차별주의자”라며 비판이 거셌으나 만남을 줄여 성추문에 휩싸일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부 남성들에게 좋은 방어책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회식자리에 여성을 빼는 일, 업무대화에서 의도적으로 배제시키는 일 등을 펜스룰이라고 언급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이 주미 한국대사관의 파견 인턴 여직원을 성추행한 사건이 일어나자 ‘여성 성추행’ 발생을 막는다며 이후 인턴 전원을 남성으로 선발했다. 미투 운동이 일어나기 전 한국에서 펜스룰을 선도적으로 적용했다고 볼 수 있다.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는 SNS를 통해 “만약 남성들이 직장 내 성희롱을 방지하는 방법이 여성들과 일대일로 마주하는 시간을 피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여성들에게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펜스룰을 비판했다.

이어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어떤 사람들은 무심코 여성에게 상처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들과 거리를 두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며 “불행하게도 많은 사람이 이런 최악의 고정관념을 받아들이고 있다”며 펜스룰을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남성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몰고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펜스룰에 대한 의견도 “성범죄를 막는 처방이 될 수 있다“와 ”성차별을 조장하는 악습이 될 것“이라면서 엇갈리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