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칠곡 매원마을 전경. 칠곡군 제공
경북도는 칠곡 왜관읍 소재 ‘칠곡 매원마을’이 전국에서 마을단위 최초로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됐다고 15일 밝혔다. 매원마을은 17세기 광주이씨 석담 이윤우(1569~1634)가 아들 이도장(1603~1644)을 데리고 함께 이사 온 후 이도장의 차남 이원록(1629~1688)이 뿌리를 내려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살고 있는 영남지방의 대표적 동족마을(혈연관계가 있는 동성들이 모여서 이룬 마을) 중 한 곳이다.
마을은 주변 자연지세에 순응해 기본적으로 동서 방향을 축으로 형성돼 있으며 가운데 ‘중매’를 중심으로 동쪽의 ‘상매’와 서쪽의 ‘하매’로 영역이 구분돼 있다. 이는 동족 구성원들이 분파돼 나아가는 시간·공간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400여년 역사를 품은 유서 깊은 이 마을은 한때 400여 채의 가옥이 있었지만, 현재는 고택 60여 채가 남아 있다. 한국전쟁 때 전쟁의 포화로 폐허가 된 탓이다.
매원마을은 근현대기를 지나오면서 이뤄진 마을 영역의 확장과 생활방식 등의 변화 속에서 다른 영남지방의 동족 마을과 구별되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가옥·재실, 서당, 마을 옛길, 문중 소유의 문전옥답, 옛 터 등 역사성과 시대성을 담고 있는 민속적 요소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등록 가치를 인정받았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매원마을의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을 계기로 경북지역의 우수한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속 승격시켜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