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닷새 앞둔 24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찾은 박영수(51)씨는 차례상 이야기에 한숨부터 내쉬었다. 박씨는 “비싼 곶감 같은 건 차례상에서 빼고, 사과나 배도 가격이 비싸 몇 개만 놓고 차례를 지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전통시장과 마트는 명절을 앞두고 차례상과 가족들이 먹을 음식을 장만하기 위해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로 북적였다. 하지만 사과, 배 등 과일이나 채소 가격을 보고선 고개를 젓는 이들이 많았다. 차례상에 올라가야 할 과일 중 사과는 하나에 4000~6000원 수준이었고, 배도 3000~5000원이었다. 선물 세트 형태로 포장된 곶감은 20개에 3만 5000원을 웃돌았다. 주부 안모(54)씨는 “사과와 배만 조금 넉넉하게 사도 5만원을 넘게 써야 한다”며 “소고기, 돼지고기와 전을 부칠 재료까지 사면 얼마나 돈을 더 써야 할지 가늠도 안 된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과일 선물세트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과일 선물세트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가파르게 오른 가격에 차례상을 간소화하거나 아예 생략하겠다는 시민들도 있었다. 종로구 통인시장에서 만난 주부 윤모(44)씨는 “명절 음식을 준비하다 보니 과일을 사는 데만 10만원 넘게 썼다”며 “올해는 어쩔 수 없이 차례를 지내겠지만, 내년부터는 차례를 아예 없앨까 한다”고 말했다.
상인들과 시민들이 고물가를 호소하는 것은 지난해부터 줄곧 물가 상승이 이어진 데다 차례상에 오르는 과일과 채소가 집중호우 등으로 가격이 유독 더 올라서다.
영등포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유한희(40)씨는 “물가는 코로나19가 한참일 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오르고 있지만, 월급은 큰 차이가 없다”며 “지난해 추석보다 차례상 비용이 줄어들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정부 발표와 체감 물가에 괴리가 생기는 이유는 지난해 물가가 워낙 오른 ‘기저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20대 성수품도 최근 명절에 많이 사는 품목과는 다소 동떨어져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슬·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